심리학개론 ) 나의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에 대한 이해 - 당신은 정서의 기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논리적으로 기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2.02.16
- 최종 저작일
- 2022.0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서의 기능
2. 정서 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의 개념
3. 정서 지능적 강점과 약점, 활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정서에 대한 연구는 지속해서 이루어져 왔지만 정서 지능에 대한 연구는 정서와 다르게 최근에 주목받기 시작했다. 일반적으로 이해되어 오던 정서와 다르게 지능적인 부분에서도 정서가 영향이 있음이 밝혀지면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발휘하는 데 있어 정서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서와 정서 지능에 대해 이해하고, 정서 지능과 관련된 개인의 장단점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정서의 기능
정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인지 및 정서와 관련된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설재욱, 손영우, 박수애, 2005). 전투기 조종사와 같이 다양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는 환경에서 주의를 배분하여 목표 자극에 집중할 수 있게 하여 목표 이외의 주변 상황에서 주의를 기울이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한다.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긍정적 정서가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끌어내고, 같은 상황에서 부정적인 정서는 객관적인 분석력과 창의력을 떨어뜨리는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이처럼 정서는 감정적인 부분에 그 영향이 국한되어 있다고 이해하기보다 정서를 통해 인지능력이 다르게 발현될 수 있다는 점까지 고려한다면 감정과 인지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요소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2. 정서 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의 개념
정서 지능에 대한 의견은 두 가지로 나뉜다 (김천석 & 유태용, 2005). 일반적인 인지능력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상호작용적인 측면에서 정서 지능을 이해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인지능력보다 성격과 관련된 영향이 더 크게 때문에 인지능력과 별개로 봐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한 가지 의견이 절대적으로 옳다고 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각각의 분야에서 지속해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정서 지능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의 영역에서 해석될 수 있다 (이동명, 2011).
참고 자료
김천석 and 유태용. (2005). 정서지능, 인지능력, 성격의 구성개념간 변별성과 정서지능의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에 대한 증분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8(2), 271-298.
설재욱, 손영우 and 박수애. (2005). 정서와 정서지능이 상황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8(1), 79-96.
유아라, 김정민, 이지명 and 이지선. (2020).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정 정서강도의 조절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6(2), 147-168.
이동명. (2011). 구성원 정서지능과 집단 정서지능이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질서경제저널, 14(3), 4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