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경대학교 화학공학과 전공기초실험/실험실 내 안전장비 및 시설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2.02.14
- 최종 저작일
- 2021.03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부경대학교 화학공학과 전공기초실험/실험실 내 안전장비 및 시설 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대학실험실 안전환경 필요 이유 및 실험실 내 위험요소
2. 실험대
3. 안전설비
4. 화학물질 저장 설비
5. 세척설비
6. 개인보호구
7. 화학형 실험실 모델
8.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실험대
1) 실험대 표면은 화학물질 및 실험 재료에 대해 불침투성이여야 하며 특히 산에 강한 저항성을 갖추어야 한다.
2) 실험대의 모든 부분은 돌출부, 날카로운 부분이 없이 매끄러워야 하며 실험 도 중 화학물질이 누출된 경우에도 흡수되거나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야 한다.
3. 안전설비
1) 흄 후드
실험실의 유해공기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인 안전설비이다.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모든 실험실에 설치되어야하는 설비이며 유지관리를 통해 그 기능이 유지 되어야한다.
2) 암 후드
흄 후드에 비해 움직임이 자유로운 후드이다. 특정 위치의 소량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시키는 목적을 가진 설비이다. 흄 후드보다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4. 화학물질 저장 설비
화학물질 저장 설비라고 할 수 있는 시약장은 실험물질 특성에 맞게 사용하여야한 다. 공기 배출 유형은 아래와 같이 크게 3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1) 밀폐형
내부순환형 시약장으로 내부 필터를 통해 유해공기 제거
2) 배기형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로 걸러진 공기를 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
3) 환기형
배기형과 비슷하지만 필터로 거른 공기를 실내로 배출
시약장에 보관되는 유기물의 특성에 따라서는 6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1) 휘발성 유기물 보관 캐비닛
휘발성 유기물은 화재 시 연료가 되어 화재를 확산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 절연 효과가 있는 공기층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2) 부식성(산,염기) 보관 캐비닛
휘발성 유기물 보관 캐비닛과 비슷한 재질과 구조로 이루어져있지만 산염기에 견 딜 수 있도록 내부에 플라스틱 코팅 선반을 배치하는 등 내부식성 재질로 제작된다.
3) 냉장 또는 냉동 시약장
상온에서 불안정하거나 휘발성이 높은 소량의 화학물질을 저온 보관하기 위해 사 용한다.
참고 자료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연구실 안전 표준 교재 화학⦁가스 안전. p25-34
교육부. 대학 실험실 안전환경 구축 가이드. p6 안전환경 구축 개요 참고. p106 화학형 실험 모델 참고. p67-100 실험실 내 안전장비 추가정보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