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접투자
- 최초 등록일
- 2022.02.11
- 최종 저작일
- 2022.02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목차
1. 해외직접투자의 개념
2. 해외직접투자의 동기
3. 해외직접투자의 유형
4. 해외직접투자이론
5. 해외직접투자 동창
본문내용
1. 해외직접투자의 개념
기업의 해외투자는 크게 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와 간접투자 (international portfolio investment)로 구분된다. 해외직접투자는 해외에서 경영지배 또는 통제권을 행사함으로써 직접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투자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해외직접투자는 자본뿐 아니라 제품 ㆍ기술ㆍ특허 ㆍ경영관리능력 등과 같은 각종 경영자원이 패키지 형태로 동시에 이동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에 국제간접투자는 경영지배나 통제의 목적이 아닌 단순한 배당금이나 이자수입을 목적으로 외국기업의 주식이나 채권을 취득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를 포트폴리오투자 혹은 증권투자라고도 부른다.
따라서 해외직접투자와 국제간접투자의 차이는 피투자기업에 대한 경영통제권의 행사 유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2. 해외직접투자의 동기
2-1 시장추구형 (market seekers)
기존시장 유지 및 신시장 개척을 위해 피투자국 현지시장을 겨냥하여 현지에서 생산을 하는 해외직접투자로서, 이는 다시 방어형 시장추구와 공격형 시장추구로 구분된다.
1/ 방어적 시장추구형 : 수출국의 무역규제가 심할 경우 기존의 수출시장을 방어하기 위하여 해당국가에 직접 투자를 하거나 또는 우회 수출기지를 확보할 목적으로 제 3국에 해외직접투자하는 경우를 말한다.
2/ 공격적 시장추구형 : 새로운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 직접투자를 수행하는 경우를 말한다.
2-2 생산효율성 추구명(production efficiency seekers)
생산요소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지역으로 생산시설을 이전, 해외직접투자를 행하는 경우를 말하는데, 우리나라 기업들이 동남아 혹은 중국의 값싼 임금을 이용하기 위한 투자가 여기에 해당한다.
2-3 자원 추구형 (resource seekers)
각종 원자재가 풍부하고 저렴한 지역의 자원을 개발하여 이용하기 위하여 해외직접투자를 행하는 경우를 말한다. 인도네시아에서의 삼림개발, 북예멘과 베트남 지역에서의 석유개발 투자가 이에 해당된다.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