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CASE STUDY/ 에이쁠 케이스
- 최초 등록일
- 2022.02.04
- 최종 저작일
- 2021.05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 간호진단 갯수 5개
- 간호과정 2개
- 대상자 교육자료 포함!!
에이쁠 받은 케이스입니다!
교수님에게 열심히 공부했다고 칭찬받았습니다.
심장조직관류 감소의 위험성을 주진단으로 잡았습니다!!
ER과 CCU에서 다루어지는 케이스입니다.
대상자 교육자료와 LAB, 병태생리까지 담아서 발표시 도움되실겁니다!!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임상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III. 대상자자료수집
1. 일반적 사항
IV. 임상병리검사
1. 혈액검사
2. 일반화학검사
V. 투여약물
1. 약물 투여의 흐름도
VI. 간호과정
1. 대상자의 건강문제
2. 간호진단
3. 대상자 교육자료
VII. 출처
본문내용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cardiac arrest는 심장 수축이 멈춘 상태로 환자의 심박동과 혈액 순환 및 호흡이 갑자기 중단되는 응급상황이다. CPR과 같이 즉각적인 처치도 중요하지만, 그 후에 후유증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도 중요하다. 심정지 대상자를 사정하고, 적절한 간호진단과 중재계획을 수립하여, 환자에게 어떠한 간호가 필요한 지 학습하고자 사례연구 대상자로 선정하게 되었다.
II. 문헌고찰
1. 정의
심실이 수축을 정지하고, 보충 수축으로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말하여, 그 결과로 뇌를 비롯한 여러 장기가 산소를 공급 받지 못하여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임상적으로는 심정지와 심실 세동을 합쳐서 심박정지 cardiac arrest라고 한다.
2. 병태생리
1) 심혈관 허탈 (Cardiovascular collapse)
협심증이나 판막 질환 등이 심한 환자에서 말기에 심장 근육이 매우 약하여 심장이 박동은 하지만 그 작용이 너무 미약하여 혈액이 뇌나 기타 신체 조직을 제대로 순환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2) 심실세동 (Ventricular fibrillation)
심장의 근육 하나하나가 정상적으로 규칙적인 심장박동을 일으키게끔 동시에 협동적으로 수축 또는 이완하지 않고 심장근육들이 제각기 따로따로 작동하는 상태이다. 대부분 심장에 이상이 있는 상태에서 발생되는 심실 조기 수축등 부정맥으로 인하여 자주 일어나며, 전압 감전시에 흔히 나타난다.
3) 심장 박동정지(Cardiac standstill)
심장이 박동을 완전히 멈춘 상태이다. 보통 심장 전기전달에 이상이 발생하여 완전히 전기전달이 차단되는 경우 정상 심근에서도 심장 박동정지가 발생한다. 그 외 심장근육의 산소결핍증으로 인해 발생한다.
위의 세 가지 형태 모두 맥박과 호흡이 없고 의식이 없어서 죽은 것과 같은 모습을 나타내는 것을 보고 알 수 있다. 다만 심장 정지라고 인식되면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 한다.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종합질병정보 의학백과사전
삼성서울병원, 건강정보
성인간호학 II , 수문사, 윤은자 저
드러그인포, 약학백과
성인간호학 III 임상실습지침서, 2020
욕창 예방과 관리를 위한 통합적 욕창간호 프로그램의 효과, 김연희 등(2015), 한국자료분석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