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Hemiplegia 편측마비- 진단 3개, 운동장애 간호과정 full [장기목표 1, 단기목표 3]) A+
- 최초 등록일
- 2022.01.31
- 최종 저작일
- 2021.04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case study (Hemiplegia 편측마비- 진단 3개, 운동장애 간호과정 full)
간호과정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세세하게 적혀있음/ 장기목표 1, 단기목표 3개)
목차
1. 질병연구
2. 간호정보력 (진단검사)
3. 간호과정
본문내용
Ⅰ. 질병연구
1) 정의
편측 마비는 편측(한쪽)의 상하지 또는 얼굴 부분의 근력 저하가 나타난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근력 저하는 좌측이나 우측 중 한쪽에서만 일어나야 한다. 예를 들어 오른쪽 팔과 왼쪽 다리의 근력이 저하되었을 경우나 양측 하지의 근력이 저하되었을 경우에는 편측 마비라고 부르지 않는다. 근력 저하는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고 호소하는 전신 피로감이나 전신 무력감과는 구분되어야 하며 의사의 진료를 통해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안면부의 편측 마비는 표정을 지을 때 안면 양측의 대칭 여부를 통해 판단하고, 팔다리의 편측 마비는 이상 증상이 나타난 쪽의 팔다리의 무게를 도움 없이 지지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2) 원인
급성으로 발생한 뇌 속의 순환 장애 특히 내포 부근의 출혈, 연화 등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원인 질환으로는 뇌출혈, 뇌폴 중 뇌 연화, 뇌종양, 동맥염, 당뇨병, 요독증 등을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발생률이 높다. 뇌졸중이란 중풍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서 갑자기 뇌혈관이 터지거나 막혀서 뇌 폭으로 가는 혈류가 갑작스럽게 감소하거나 직접적인 뇌 손상으로 인해 뇌 기능에 이상이 생겨 중추신경계의 기능에 장애가 오는 것이다. 뇌졸중의 원인으로는 대개 고혈압과 동맥 경화증이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동맥경화와 고혈압이 진행하면 동맥벽이 두꺼워져 혈관은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며, 그와 함께 혈관이 약화되고 고할압을 견디지 못하여 터지게 된다. 이외에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증, 흡연, 그리고 심장 질환과 약물, 뇌졸중의 가족력 등이 위험을 일으키는 인자들이다.
3) 병리기전
편마비의 주된 원인은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이다. 허혈성 뇌졸증은 혈전이나 색전으로 인한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으로 뇌 조직의 국소부위에 뇌혈관이 막혀서 혈류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발생한다.
참고 자료
건강사정과 간호(수문사)-김종임 외
성인간호학Ⅱ(수문사)- 윤은자, 김숙영 외
최신 알기쉬운 병리학(현문사) - 신민자 강현숙 외
기본간호학Ⅱ(수문사) - 송경애, 정승교 외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 뇌졸중 환자의 재활
명지병원, 서울대학교병원 – 편측마비 의학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