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의 사회 구성과 문화의 특성
- 최초 등록일
- 2022.01.26
- 최종 저작일
- 2022.0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발해의 사회 구성과 문화의 특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발해의 건국과 발전
2. 발해의 사회구성
3. 발해의 문화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영토가 넓었던 나라는 고구려와 발해로 기록되어 있다. 나당연합군에 의해 고구려의 멸망 후, 고구려 장수였던 대조영은 고구려유민과 말갈족을 연합하여 고구려의 옛 땅인 동모산 기슭에서 나라를 세운다(698년). 발해의 건국으로 우리 민족은 고구려의 옛 땅을 다시 우리 땅으로 만들게 되었고, 이때부터 한반도와 만주에는 새로운 시대, 즉 발해와 신라의 남북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현재 발해의 사료는 턱없이 부족하다. 하지만 우리는 현존하는 역사서와 남겨진 문화들을 보며 발해의 시작점에서부터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 나라인 것을 알 수 있다.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는 건국부터 점점 발전하면서도 사회·정치적 모습, 문화 방면에서 고구려를 계승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Ⅱ. 본론
1. 발해의 건국과 발전
968년 고구려가 나당연합군 문진 후 고구려의 옛 영토는 신라와 당나라의 힘이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공백지역으로 남게 되었다. 고구려가 멸망한 후 당나라는 고구려 땅을 직접 다스리고자 하였지만 뜻대로 하지 못하였고, 당에 저항하는 고구려 유민들을 강제로 당의 이곳저곳에 옮겨 살게 하였다.
참고 자료
박영규, 「고대사 갤러리(동이에서 발해까지)」, 옥당
구난희, 「발해왕조실록」, 살림
최성은/이송란/임석규/양은경/이우섭, 「발해의 불교유물과 유적」, 학연문화사
[네이버 지식백과] 발해 [Balhae, 渤海]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네이버 지식백과] 발해의 건국과 발전 (생방송 한국사 9, 2017.04.03., 최인수, 박종호, 고종훈, 공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