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사회] 한국사회 사회현상, 투잡족, N잡러의 증가 및 원인
- 최초 등록일
- 2022.01.19
- 최종 저작일
- 2022.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투잡족(N잡러)의 증가
1. 투잡족(N잡러)의 의미
2. 투잡족(N잡러) 현황
3. 투잡족(N잡러)의 유형
Ⅱ. 투잡족(N잡러) 증가가 나타나게 된 사회구조적 요인
1. 플랫폼노동의 활성화
2. 소득감소 : 코로나19, 주52시간제
3. 워라벨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
Ⅲ. 투잡족(N잡러) 증가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 사회, 개인의 노력
Ⅳ. 투잡족(N잡러) 증가 현상이 삶에 미치는 영향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투잡족(N잡러)의 의미
두 개의 직업을 의미하는 투잡이라는 단어는 우리 사회에서 이미 익숙한 개념이다. 과거에는 투잡이란 용어 대신 부업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였다. 과거의 부업은 더 많은 소득을 벌기 위한 행위이었기 때문에 주로 생활이 궁핍하거나 급하게 돈이 필요한 사람들에게만 한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이러한 흐름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다가 최근 들어 우리 사회에서는 투잡을 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두 개의 직업을 뜻하는 투잡을 넘어 세 개, 네 개 등 한 사람이 더 많은 일을 한다는 의미에서 복수를 의미하는 N에 직업을 뜻하는 Job과 사람을 의미하는 러(er)가 합쳐진 N잡러라는 용어까지 등장하였다.
2. 투잡족(N잡러) 현황
투잡족(N잡러)의 증가 현상은 통계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2021년 9월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본업 외의 일을 하고 있는 부업자 수는 7월 기준 56만6000명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19.1%나 급증한 수치로,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7월 기준으로 최대다.” 하지만 이러한 분석에도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실제로는 투잡족(N잡러)에 해당하지만 이러한 사실을 숨기고 있는 이들도 많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손해용 기자. 낮엔 직장인, 밤엔 배달알바…투잡족 56만명 사상 최대. 중앙일보, 2021년 9월 9일자.
안상희 기자. 생계형 여전히 많지만 재능 공유·자기계발 투잡 늘어. 조선비즈, 2020년 7월 7일자.
장지연 외(2020). 디지털 시대의 고용안전망. 한국노동연구원
심민규 기자. 50인 미만 주 52시간 시행 두 달…정점 찍은 투잡족. 이투데이신문, 2021년 9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