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 장 지글러의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를 읽고
- 최초 등록일
- 2022.01.07
- 최종 저작일
- 2021.12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10,000원
- 100 page
- PDF 파일
- 상세 보기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줄거리 및 주장
(1) 경제적 기아와 구조적 기아
(2) 기아에 관해 가르치지 않는 학교
(3) 기아와 전쟁
Ⅲ. 결론 및 비판적 관점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대부분 국가는 식량과 자원이 풍부하여 부족함 없는 삶을 보내며 살고 있다. 그러다 못해 음식을 허다하게 남기고 버리는 현상까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의 대부분 국가는 기아가 많고 아이들이 심각하게 굶주려 결국 죽는 현상이 일상생활처럼 점점 흔해지고 있다. 우리가 낭비하며 버리는 음식이 이 아이들에게는 빵 한 조각조차도 간절한 한 끼가 된다. 기아의 발생원인은 국가의 내전이거나 국가 간에 전쟁에서 비롯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서 국가 경제는 최악에 달하고 정부는 전쟁에 몰두하여 국민에게 관심은 전혀 없는 상태이다. 이는 세계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회적인 문제이긴 하나, 현실적으로 원활하게 해결할 방법은 여전히 힘든 상태이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에서는 정치적 문제와 경제적 문제를 통해서 얼마나 많은 연관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도시화와 식민지 정책, 불평등을 조장하는 환경 등 여러 문제를 통해서 기아의 원인을 적어내었다. 이 책을 읽고 우리는 기아의 심각성을 알고 파악하며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저자가 주장하는 바를 읽고 그에 대해서 비판적인 관점으로 볼 것이다.
Ⅱ. 본론 - 줄거리 및 주장
현재 지구에는 73억 명이 살고 있고 식량이 차고 넘치지만, 10억 명 이상의 아이들이 영양 결핍과 기아로 죽고 점점 배로 늘어나고 있다. 인간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영양소를 보충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면 점점 쇠약해지고 기능을 상실할뿐더러 목숨까지 잃게 된다. 2000년 9월 유엔본부는 2015년까지 기아로 인한 희생자 수를 절반으로 줄이는 것을 제일 우선으로 목표를 하였으나 완전히 실패한 사례가 있다.
참고 자료
Goldin, Ian.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서울: 갈라파고스,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