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견인과간호 정리
- 최초 등록일
- 2022.01.02
- 최종 저작일
- 2021.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피부견인과간호 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성인간호학 근골격계 내용 중 피부견인과 간호 내용에 대한 정리입니다.
목차
1. 검사 및 처치 시행목적
2. 검사 및 처치 시행절차
3. 검사 및 처치 시행 전후 간호
4. 검사 및 처치 관련 기타사항
본문내용
피부견인(Skin traction): 피부에 부착성 테이프를 적용하고 추를 연결함으로써 견인력을 적용하는 방법
목적: 골절-수술 전 부종예방과 골절편의 고정 위한 일시적 적용
관절염- 관절경축 우려 시 예방목적
[견인장치 종류별 목적]
Buck 신전 견인: 골반부 골절의 수술 전 일시적 고정, 대퇴의 전자하부나 대퇴상부 골절의 정복, 심한 근육경련의 이완, 굴곡경축의 경감 및 예방
Russel 견인: 골반부나 대퇴부 골절에 적용
골반현수견인(pelvic sling traction): 골반부의 골절이나 하복부 연조직 손상 시 적용, 손상부 통증을 완화하여 염증을 감소시키고 치유촉진
골반띠견인(pelvic belt traction): 신경근의 병변에 대한 치료, 좌골신경통, 요부의 근육경련, 척추하부의 경증 골절에 적용
경부견인(cervical traction): 경추부의 근염이나 탈골, 아탈구 및 경미한 골절이 있을 때
Bryant 견인: 3세 미만의 아동 중 체중이 18kg 이하일 때 대퇴 골절을 치료하기 위함.
주로 고관절 골절의 고정이나 고관절을 안정시키기 위해 시도됨.
(아동에게 석고붕대나 다른 방법의 견인력을 시행하지 못할 때 적용함)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2 아홉번째 판. 윤은자 외. 수문사. 2019. 1026-1029P
피부견인의 종류
http://contents2.kocw.or.kr/KOCW/data/document/2019/cup/kimyugyeong0713/5.pdf
골절 후 부정 유합, 불유합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3
의학백과사전 |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encyclo/view/7/5/2/4.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