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배양, 미생물 접종 및 순수 분리와 CFU 계산
- 최초 등록일
- 2022.01.01
- 최종 저작일
- 2021.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미생물(대장균)을 선상 도말법, 평판 도말법 등으로 접종하고 평판 배양법으로 배양하여 콜로니 형성 단위(CFU)를 측정하는 과정을 정리한 리포트입니다. 배양 방법에 따른 실험 과정과 결과, 실험 후 고찰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목차
1. Date
2. Group
3. Title
4. Introduction
1) 미생물 접종 방법
A. 선상 도말법(Streaking)
B. 평판 도말법(Spreading)
2) 미생물 배양 방법
A. 평판 배양법(Plate culture)
B. 액체 배양법(Liquid culture)
C. 고체 배양법(Solid culture)
3) 콜로니 형성 단위(Colony forming unit, CFU)
5 Materials : 미생물 접종에 필요한 실험 도구
6. Methods : 실험 과정
1) 선상 도말을 이용한 대장균 접종
2) 평판 도말을 이용한 대장균 접종
7. Results : 실험 결과
1) 선상 도말을 이용한 대장균 접종 결과
2-1) 평판 도말을 이용한 대장균 접종 결과
2-2) CFU 계산 결과
8. Discussion : 실험 후 고찰
1) 대장균의 특징에 대한 조사
2) 미생물 보존법의 종류에 대한 조사
3) 동결보존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법에 관한 연구 조사
9. Reference : 참고 문헌
본문내용
<미생물 접종 방법>
A. 선상 도말법(Streaking)
① 계대배양 : 배양된 미생물의 증식을 위해 새로운 배지로 옮겨 미생물의 대를 이어 배양하는 것이다.
② 순수배양 : 목적으로 하는 한 종의 미생물만이 성장할 수 있도록 배양하는 것이다.
③ 선상 도말 : 계대배양 및 순수배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며, 미생물 집락의 특성을 바탕으로 확인되기 때문에 각 집락은 단일 집락(single colony)으로 관찰되어야 한다. 루프를 사용하여 1차~4차 선상 도말이 이루어지며 각 선상 도말 간 미생물의 농도 희석이 이루어진다.
B. 평판 도말법(Spreading)
① 선상 도말과는 다르게 전체적으로 균주를 도말해주는 것이다.
② 스프레더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피펫으로 균주 액을 배지에 분주한 이후 균주 액이 배지의 모든 면에 스며들 때까지 도말한다.
< 중 략 >
<선상 도말을 이용한 대장균 접종>
① 실험에 앞서 라텍스 장갑을 착용하고 에틸알코올을 이용해 멸균했다.
② 미리 준비된 빈 고체 배지 바닥면에 접종할 미생물과 이름, 날짜를 기록했다.
③ 대장균이 배양된 고체 배지에서 루프를 이용해 대장균을 채취했다.
④ 채취한 대장균을 빈 고체 배지에 1차 접종했다. 이때 특정 접종 부위에 대장균이 몰리지 않도록 펴서 도말했다.
⑤ 두 도말 부위가 겹치면 희석의 효과가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1차 도말 부위에서 루프를 이용해 대장균을 배지 위로 길게 끌어온 후 1차 도말 부위와 겹치지 않게 2차 도말을 했다.
⑥ 2차 도말 부위에서 루프를 이용해 대장균을 배지 위로 길게 끌어온 후 1차 도말 부위와 겹치지 않게 3차 도말을 했다.
⑦ 3차 도말 부위에서 루프를 이용해 대장균을 배지 위로 길게 끌어온 후 1차 도말 부위와 겹치지 않게 4차 도말을 했다. 4차 도말 시 1차 도말 부위와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했다.
⑧ 배지의 뚜껑을 닫아 습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뒤집어 보관했다.
참고 자료
한국미생물학회,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신종훈, 2018.4, 201p
한국식품과학회, 한국식품과학회지, 백다윤 외 4명, 2020.2, 103p
한국미생물학회, 미생물학회지 52(4), 정혜임 외 2명, 2016.12, 407p
한국미생물학회, 미생물학회지 31(6), 신수안 외 3명, 1993.12, 504p
한국미생물학회,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배경숙, 1991.4, 38~39p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제48권 제2호, 박미례 외 7명, 2020, 205~214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