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빌리 엘리어트>를 미장센, 사운드로 분석했습니다. 총 6페이지로 자세한 분석이 담겨 있습니다.
- 최초 등록일
- 2021.12.27
- 최종 저작일
- 2021.11
- 7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소개글
"영화 <빌리 엘리어트>를 미장센, 사운드로 분석했습니다. 총 6페이지로 자세한 분석이 담겨 있습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빌리 엘리어트>는 영국 광부 대파업(1984~1985)을 배경으로 탄광촌의 남자아이가 발레리노가 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발레와 파업이 대조되며 결국 발레의 성공과 파업의 실패, 빌리의 성공과 아버지와 형의 희생을 중점적으로 보여주고 이를 통해 '자녀의 꿈을 위한 부모의 희생'을 주제로 전달한다. 또한 스토리텔링 형식을 살펴 볼 때, 관객이 이야기에 몰입하고 인물에 감정이입 하는 것을 돕기 위해 몰입을 깨트릴 만한 편집 방식이나 미장센을 연출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대중적인 편집 방식 채택하고 기본적으로 행위의 일치, 시선의 일치, 180도 법칙 등 연속 편집의 양식을 활용하며 색의 대비, 상하의 대립, 의상, 배우의 연기, 대사의 반복, 음악이 쇼트를 연결하는 방식, 내재음향과 외재음향의 모호한 구분 등의 미장센과 음향을 통해 서사와 인물의 감정, 메세지를 전달한다.
먼저 <빌리 엘리어트>에서 형과 아버지는 탄광촌으로 내려가고, 빌리는 무대에서 뛰어오르는 상하의 대립은 주제를 전달하는 핵심 미장센이며, 빌리 아빠가 빌리의 국립발레학교 합격 소식을 듣고 노조 사무실에 알리기 위해 위로 뛰어가는 장면은 파업 실패 소식을 듣고 심리적으로 하강하며 부모의 희생, 파업의 실패를 대가로 빌리의 성공이 이뤄졌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미장센이 된다. 그러나 그 이외에 등장하는 상하의 대립은 신기하게도 반대의 의미를 가지는 것처럼 보인다. 빌리는 아빠에게 발레하는 것을 들켜 금지당했을 때 화가 나서 뛰어 올라가고, 형과 아빠한테 발레 하는 것을 완전히 금지당했을 때 뛰어 올라가고, 형한테서 춤 춰보라고 억지로 식탁 위에 올려지기도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