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교육자료조사 (꼼꼼합니다)
- 최초 등록일
- 2021.12.02
- 최종 저작일
- 2020.05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위암 교육자료조사 (꼼꼼합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위암 문헌고찰
1) 위의 위치와 구조
2) 위암의 병태생리
3) 위암의 원인
4) 위암의 증상과 진단
5) 위암의 치료와 예후
2. 위암 수술 전/후 간호
1) 환자의 현재 상태
2) 위암 수술 전 준비사항
3) 위암 수술 후 주의사항
3. 퇴원 교육
1) 식이 관리
2) 스트레스 관리
3) 일상생활 관리
4) 외래 F/U 안내
5) 수술 후 자주하는 질문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 위의 위치와 구조
위는 복강의 좌상부에 위치하며 위쪽 끝은 식도와 연결되고 아래쪽 끝은 소장과 연결된다. 정상적으로 위의 길이는 약 25cm로 용적은 1,500mL이며 약 4L의 음식과 수분을 보유할 수 있을 만큼 확장 가능한 팽창성 기관이다. 위는 분문부, 위저부, 몸체, 유문부로 나눌 수 있다. 유문괄약근은 소장의 십이지장부분으로 위가 비워지는 것을 조절한다.
위는 음식을 저장하고, 기계적으로 잘게 부수며, 단백질 소화를 시작하고 음식을 위액과 섞어 미즙이라 불리는 진한 액체로 만든다. 위의 안쪽은 원주상피세포와 점액 생산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위 분비샘과 연결된 내막의 수많은 구멍은 하루에 4~5L의 위액을 생산할 수 있다. 위 분비샘은 위액으로부터 소화되지 않도록 위를 보호하는 물질을 생산하고, 염산과 내적인자를 분비하며 위장운동을 조절하는 것을 돕는 다양한 분비세포를 포함하고 있다.
(2) 위암의 병태생리
위는 점막, 근육층, 장막 3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암은 국소 부위에서 시작하여 점차 점막, 점막밑층까지 침범한다. 조기 위암은 암이 위의 점막 또는 점막밑층까지 침범한다. 조기 위암은 암이 위의 점막 또는 점막밑층까지 침범한 경우를 말하며 진행성 위암은 위의 근육층 이상을 침범한 경우를 말한다. 샘암종은 점액을 분비하는 세포에 발생하는 것으로 위암 중 가장 흔한 형태이다. 위암은 절반 이상이 위의 날문방과 날문부에 발생한다. 예후는 폴립형보다 침윤성이 나쁜 편이다. 위암의 병기는 크게 4단계로 구분한다. 위암은 림프선이나 혈액을 따라서 간, 폐, 난소, 복강으로 전이된다. 조기 위암은 수술 후 5년간 생존율이 약 90~95%인 반면에 주변 림프선으로 전이가 있거나 주변 조직으로 침범되어 있으면 약 30%로 떨어진다. 병변이 위의 상부, 특히 들문부에 위치할수록 예후가 나쁜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진단이 늦게 내려지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I, 윤은자‧김숙영 외 공저, 수문사, 445~451p
위암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이해, 충남대학교병원 대전지역암센터, 2019년 6월
위암과 치료를 위한 안내, 삼성서울병원, 초판 2008년 1월, 재판 2016년 10월
http://www.snuh.org/board/B016/view.do?bbs_no=3591&searchKey=&searchWord=&pageIndex=1
https://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gastrointestinal_surgery/faq/view.asp?con_no=75061&page=1&SearchField=&SearchWord=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ealtherapy/mealTherapyDetail.do?mtId=84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patienteducation/patientEducationList.do?pageIndex=2&searchCondition=all&searchKeyword=%EC%9C%84%EC%95%94&refDeptCd=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healthSub02View.do?content_id=1233&cPage=1&DP_CODE=CIC&MENU_ID=004027017&ds_code=D0001709&main_content_id=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