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의 형태 Fracture 컨퍼런스
- 최초 등록일
- 2021.11.24
- 최종 저작일
- 2021.1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골절의 형태
회복과정
Cast
목차
골절의 형태
회복과정
Cast
본문내용
골절의 형태
골절은 골이 부서진 것을 의미한다. 손상정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골절 형태가 있다.
■ 단순(폐쇄) - 부서진 부분이 정상 해부학적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주위 조직의 손상이 최소한인 상태(피부가 뚫어지지 않았음)
■ 복합(개방) - 골의 부서진 말단이 움직여서 피부를 뚫고 나온 상태. 주위의 혈관, 신경, 근육의 광범위한 손상이 있다.
■ 유연골절 - 골이 종적으로 갈라졌다. 어린이 골은 성인의 골보다 콜라겐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완전히부서지기보다는 갈라지는 경향이 있다.
■ 분쇄골절 - 두 방향으로 부서져서 여러 골 조각이 생긴다.
■ 자발적(병리적) - 뚜렷한 상해 없이 골이 부서진다. 골다공증과 같은 골장애를 동반하다
◀ 폐쇄성 사선골절(closed or simple oblique)
◀ 개방성 사선골절(open or compound oblique)
◀ 완전횡선골절(complete transverse)
◀ 불완전 종적골절(incomplete longitudinal)
◀ 전위골절(displaced spiral)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