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홍역 case study 진단 5개 사정 2개
- 최초 등록일
- 2021.11.21
- 최종 저작일
- 2021.09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홍역 case study"에 대한 내용이고 폐렴에 대한 설명도 중간에 있습니다
목차
І. 문헌고찰
1. 홍역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검사
5)치료
6)경과/힙병증
7)예방방법
8)식이요법/ 생활가이드
2. 폐렴
1) 정의
2) 유발요인
3) 주증상 및 징후
4) 진단
5) 치료 및 간호
Ⅱ. 간호사정
1. 간호력
2. 신체 사정
3. 진단검사
4. 투여약물
Ⅲ. 간호과정
1. 간호진단
2. 간호사정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홍역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며 전염성이 강하여 감수성 있는 접촉자의 90% 이상이 발병한다. 발열, 콧물, 결막염, 홍반성 반점, 구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며 질병 특유의 점막진을 특징으로 한다, 한번 걸린 후 회복되면 평생 면역을 얻게 되어 다시는 걸리지 않는다.
2. 원인
홍역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로 파라믹소 바이러스과에 속하며 혈청 항원은 한가지만 있다. 전구기와 발진기 동안 비인두 분비물이나 혈액, 소변에 바이러스가 존재한다.
3. 증상
잠복기는 10~12일이며 전형적인 홍역은 전구기와 발진기로 나눌 수 있다.
전구기는 전염력이 가장 강한 시기로 3~5일간 지속되며 발열, 기침, 콧물과 결막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결막염은 코플릭 반점(Koplik spot)이 출현하기 전에 나타나고 이어 1~2일만에 발진이 나타난다. 코플릭 반점은 진단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첫째 아랫니 맞은 편 구강 점막에 충혈된 나타나는데, 작은 점막으로 둘러싸인 회백색의 모래알 크기의 작은 반점이며, 12~18시간 내에 소실된다.
발진기는 코플릭 반점이 나타나고 1~2일 후에 시작하는데 홍반성 구진 형태의 발진이 목의 외상부, 귀 뒤, 이마의 머리선 및 뺨의 뒤쪽에서부터 생기며, 그 이후 첫 24시간 내에 얼굴, 목, 팔과 몸통 위쪽, 2일째에는 대퇴부, 3일째에는 발까지 퍼진다. 발진은 나타났던 순서대로 소실된다. 콧물, 발열, 기침은 점점 심해져 발진이 가장 심할 때 최고조에 달한다. 발진 출현 후 2~3일째 증상이 가장 심하고 이어 24~36시간 내에 열이 내리고 기침도 적어진다.
발진은 병의 심한 정도에 따라 범위, 융합의 정도가 다르며 출혈반(범위가 넓은 반점모양 출혈), 광범위 익혈반(ecchymosis, 반상출혈, 피하출혈에 의하여 나타나는 점상출혈반)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참고 자료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제3판, 차영남 외 13명 [현문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