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 (Infertility)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21.11.19
- 최종 저작일
- 2021.04
- 2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난임 (Infertility) case study
간호과정 3개
22페이지 분량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기간 및 방법
Ⅱ. 본론
1. 문헌고찰
2. 시나리오
3. 간호사정
4. 간호과정
1) 간호진단
2) 간호목표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Ⅲ.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난임은 정상적인 임신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1년 동안 임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난임은 단순히 아이가 생기지 않는다는 1차원적인 개념에서만 볼 것이 아니라 그로 인해 부가적으로 따라오는 자기비하, 혼란, 우울 등 심리적인 문제와 보조생식술 중 최후인 체외수정까지 시행하게 된다면 경제적인 문제까지 고려되어야할 부분이다. 또한 실패하였을 경우를 본다면 그에 대한 부담은 더더욱 커진다.
난임은 사회적 스트레스나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변화, 여성의 사회 활동의 증가, 결혼연령 지연의 이유로 매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4년부터 10만 명을 넘어 내년 증가추세이며, 2007년 17만8,000여명에서 2016년 22만 1,261명으로 2007년 대비 24%나 증가했다. 결혼 부부의 10쌍 중 1-2쌍은 난임 치료의 대상이 된다. 때문에 우리는 이번 연구를 통해 해당 질병의 원인, 치료, 간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더 나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2. 연구 기간 및 방법
: 2021.05.06.~2021.05.21.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EMR, 기록지, 담당 간호사와 간호수행 관찰, 서적, 인터넷, 대상자와의 대화 등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II. 본론
A. 문헌고찰
1. 정의
: 결혼한 부부가 비피임 성관계를 할 경우 1년 내 임신될 확률은 90%가량을 웃돈다. 그에 상반되는 개념으로 1년간 비피임 성관계 시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난임이라고 한다. 불임은 임신을 할 수 없는 정확한 원인을 포함하지만 난임을 생물학적으로 임신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일컫는다.
2. 원인
여성 측 요인
① 전신적 이상
■ 심한 빈혈, 음주, 흡연, 정서적 불안, 쇠약, 영양문제
② 생식기 발육 이상
■ 기형, 발육 부전(성선자극 호르몬, 난소 기능 저하증 등)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