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주의와 언어
- 최초 등록일
- 2021.11.01
- 최종 저작일
- 2017.05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식민주의를 일제강점기 당시의 창씨개명을 예시로 들어 분석해본 글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본론
-일제강점기의 시대구분
-창씨개명의 시행배경, 목적, 반응
-식민주의와 창씨개명이 갖는 의미
-다른 식민지배와의 비교
-창씨개명의 해석과 한계
3. 요약 및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머리말
처음 필자가 식민주의에 대해 생각해 보았을 때 36년간의 일제에 의한 통치시대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현재 대한민국 국민들은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라는 단어를 떠올릴 때 강제 징용,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의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문제에만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 일제강점기로 인해 현재 한국 사회에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일본의 유산들이 많이 남아 있다고 보았다. 특히 그 중에서도, 1930년대부터 시작된 민족말살 통치기에 시행된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된 창씨개명 정책으로 인한 언어와 관련된 부분들로 인해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이러한 짐작을 바탕으로 하여 필자는 일본의 식민통치정책, 그 중에서도 창씨개명에 관해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식민통치를 경험한 다른 국가들과 그들을 지배한 국가들의 사례를 보면서 그들과 우리의 경우가 어떻게 같고 다른지 비교해보기로 하였다.
일제강점기의 시대구분
창씨개명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정책이 시행된 이유와 당시의 배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경술국치가 일어난 1910년 8월 29일부터 일본 제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무조건 항복을 선언한 1945년 8월 15일까지를 현재 우리가 일제강점기라고 부른다.
참고 자료
『한국사 능력 검정고사 고급 실력평가모의고사』, 2017
양희영, 「프랑스혁명과 식민주의: 총재정부시기 식민지 문제를 중심으로」, 2015
손준식, 이옥순, 김권정, 『식민주의와 언어; 대만·인도·한국에서의 동화와 저항』, 2007
루이-쟝 칼베, 『언어포식 이야기, 언어와 식민주의』, 2004
미즈노 나오키, 『창씨개명, 일본의 조선지배와 이름의 정치학』,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