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이슈 분석 인플레이션과 양극화 심화 현상에 대한 고찰
- 최초 등록일
- 2021.10.31
- 최종 저작일
- 2021.10
- 17페이지/
MS 워드
- 가격 7,500원

소개글
"시사이슈 분석 인플레이션과 양극화 심화 현상에 대한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국내 해외를 가리지 않고 전세계는 가파른 물가 상승 중
2. 인플레이션은 한시적일까 아니면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인가
3. 인플레이션은 서민에게 고통을 가중시킴
4. 인플레이션은 국가간, 산업간, 개인/계층 간 양극화를 심화시킴
5. 인플레이션과 양극화 해결을 위한 정부의 단호하고 섬세한 정책 추구 필요
본문내용
인플레이션은 '부풀어 오르다 라는 뜻의 라틴어 'infla에서 유래됐다. '모든 상품의 물가가 전반적으로 꾸준히 오르고, 돈의 가치는 하락하는 것'을 말한다. 인플레이션의 원인으로는 아래와 같이 기본적으로 3가지 이유가 있다고 할 수 있다.
① 수요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tion) : 수요는 크게 늘어나는데 그것에 맞추어 공급량이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는 인플레이션. 가계에 돈이 많아지면 소비가 늘어나는데 그만큼 물건 공급이 되지 않을 경우에 발생.
② 비용 인플레이션(cost-push inflation) : 제품의 생산비용이 오르면 제품 가격도 함께 올라서 전반적인 물가가 모두 오름 예를 들면 수입하는 석유 값이 오르면 석유와 관련된 제품은 모두 오르게 됨. 비용
③ 단순한 수요의 이동이나 공공요금의 인상, 저생산성으로 인한 공급의 부족 등
1. 국내 해외를 가리지 않고 전세계는 가파른 물가 상승 중
국제유가 및 원자재 가격 상승에 기대인플레이션이 2.4%로 9개월째 2%대를 기록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전망치인데, 실제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지표다.
‘21년 10월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10월 소비자동향 조사'에 따르면 기대인플레이션은 2.4%를 기록했다. 지난 2월(2.0%) 이후 9개월째 2%대를 이어갔다. 2019년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1%대를 기록한 후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는 모양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전망으로, 내년 10월에도 물가가 떨어지지 않는다고 본 것이다.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물가인식도 3개월 연속 2.4%를 기록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3%를 기록할 것이라는 응답도 30.9%로 전월 대비 2.7%포인트 올랐다. 3~4%, 4~5% 상승 응답 비중도 각각 0.6%포인트, 0.3%포인트 올랐다. 물가 상승률이 2%대를 상회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참고 자료
물가 더 오른다, 기대인플레이션 9개월째 2% 대 ㅣ 아시아경제 기사
코로나발 인플레이션 대비해야, 석유값 13년 만에 최고 ㅣ 뉴스워커 기사
세계 석학들이 내다본 코로나 경제 전쟁 ㅣ 폴 크루그먼 등 저 ㅣ 매경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