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락사에 대한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1.10.25
- 최종 저작일
- 2020.04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0원

소개글
"안락사에 대한 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안락사의 정의
Ⅱ. 안락사의 유형
1. 수단
2. 동의여부
Ⅲ. 안락사의 요건
1. 객관적 요건
2. 주관적 요건
3. 절차적 요건
Ⅳ. 안락사에 대한 사례
1. 국내
2. 국외
Ⅴ. 안락사에 대한 찬반입장
1. 찬성입장
2. 반대입장
Ⅵ. 안락사와 존엄사의 공통점과 차이점
Ⅶ. 나의 견해
Ⅷ. 출처
본문내용
Ⅰ. 안락사의 정의
Euthanasia라는 좋은 죽음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안락사는 회복할 수 없는 죽음에 임박한 중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죽음을 앞당기거나 생명을 단축하는 행위를 말한다. 안락사는 어원적 의미에 충실하여 대체로 '수월한 죽음(easy death)'을 일컫는 말로 통용된다.
Ⅱ. 안락사의 유형
1. 죽음에 이르게 하는 수단에 따라
(1) 적극적 안락사
안락사를 수행하는 사람이 불치병의 환자나, 아주 심한 고통의 환자, 의식이 없는 환자의 삶을 단축시킬 것을 의도하여 구체적인 행위를 능동적으로 행하는 안락사의 형태이다. 예를 들어, 치사량의 약물이나 독극물을 직접적으로 주사하여 환자를 죽음으로 이끄는 경우이다.
<중 략>
Ⅳ. 안락사에 대한 사례
1. 국내
우리나라에서 안락사가 처음 표면으로 대두된 계기는 1997년 보라매병원 사건 때문이다. 이 사건의 개요를 간단히 살펴보면
(1) 1997년 12월 4일 술에 취해 화장실에 가다 넘어져 머리를 다친 김모씨가 서울 시립 보라매병원에서 응급 뇌수술을 받고 인공호흡기에 의존해 생명을 유지함
(2) 부인 이모씨는 병원비를 감당하기 어렵다면서 퇴원을 요구함
(3) 의사 양모씨는 퇴원을 해서 인공호흡을 중단하면 죽는다는 사실을 설명해 극구 만류했지만, 부인의 주장을 꺾지 못했고, 사망하더라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겠다는 서약서를 받은 뒤 퇴원시킴
(4) 김씨를 구급차를 이용해 환자를 집으로 옮겨 인공호흡장치를 제거하자 5분쯤 뒤 환자는 호흡곤란으로 사망함
(5) 검찰은 1998년 1월 “의학적 판단에 따라 치료해야 할 중환자를 보호자의 퇴원 요구만으로 집에 돌려보내 죽게 한 것은 살인행위.”라 하여 사법사상 처음으로 1심을 맡은 서울지법 남부지법은 환자의 부인 뿐 아니라 의료진에게도 살인죄를 적용한 사건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존엄사의 허용 여부 논쟁이 된 사건이자 존엄사를 인정한 첫 판례라는 의의를 가지는 김 할머니 사건이 있다.
이 사건의 개요를 간단히 살펴보면
(1) 김 할머니는 2008년 2월 18일 폐암 여부를 확인하러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해 조직검사를 받다가 과다출혈로 인한 뇌손상으로 식물인간 상태에 빠짐
참고 자료
이솔교육평생교육원 다음카페
로펌고우 법률 상담소
네이버 포스트 어린이동아
네이버 블로그 구별이의 지구탐방기
네이버 블로그 로이카인
네이버 블로그 헤라클린
네이버 블로그 낭희
네이버 블로그 김민재의 법조인으로 가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