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실업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는데, 2018년에 지급된 실업급여액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법적 근거를 찾아 제시하고 현실적인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기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1.10.14
- 최종 저작일
- 2021.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실업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는데, 2018년에 지급된 실업급여액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법적 근거를 찾아 제시하고 현실적인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상술하였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2018년에 지급된 실업급여액 조사 및 법적 근거
2. 현실적인 문제점과 해결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실업급여는 국민의 안전보호망으로 일종의 구직을 위한 급여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특히 선진국에서 이 제도는 오래전부터 도입된 제도라 하겠다. 하지만 막상 주변에서 실업급여 수급자를 볼 수 있는 기회가 흔하지 않으므로 도대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제도를 이용하는지 우리는 알 수 없다.
< 중 략 >
Ⅱ 본론
1. 2018년에 지급된 실업급여액 조사 및 법적 근거
2018년 8월 기준으로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는 2,804만 명으로 취업자는 2,691만 명이었다. 또 임금근로자는 2,005만명이었고 여기서 실업급여 수혜자는 78.2%인 1,298만명이었다. 물론 1개월 차이는 있지만 2018년 7월기준 실업급여액은 5,820억 원이었다. 2019년 동월 7,589억 원이었으니 매년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8년 1인당 지급액은 약 130.7만원이고, 2019년은 151.9만원이었다고 한다.
참고 자료
황계자, “실업, 고용안정시스템의 정착과 정책전략”, 연세대, 2004
이동환, “고용보험법상의 실업급여제도에 대한 노동행정의 관점에서의 접근”, 인하대, 2005
최정섭, “사회복지법제론”, 법문사, 2011
류기락, “기초생활보장제도 급여체계 개편과 취약계층 고용-복지 서비스의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김진선,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경과 및 향후 과제”, nars,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