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pice 이론, 실습
- 최초 등록일
- 2021.10.13
- 최종 저작일
- 2020.06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목차
1. Spice 사용법
2. 실험기기, 빵판 사용법
3. 시뮬레이션
본문내용
스파이스 입력파일의 구성은 TITLE문, Element 카드(회로 구성 정보부분), Control 카드(작업지시부분), .END문 으로 나뉘어진다.
TITLE문은 입력파일의 첫 번째라인에 위치한 입력파일의 제목을 말하는 것으로 정해진 형식이 없어서 임의로 작성하여도 된다.
Element 카드 부분은 해석하고자 하는 회로의 내용을 작성하는 것이다. 즉, 소자종류, 소자값, 및 소자가 연결된 마디번호등을 입력한다.
Control 카드 부분은 회로해석에 필요한 각종 작업 지시 내용을 작성하는 것이다. 첫칸은 반드시 점으로 시작하여야한다. 이 첫칸의 점의유무로 Elemnet 카드와 Control 카드를 구분한다.
.END 문은 Control 카드중의 하나로 입력파일의 끝을 나타낸다. 입력파일의 마지막 문장은 반드시 .END 이어야한다.
Title 카드는 정해진 형식이 없으며, 어떤 문장이라도 상관없다. 첫 번째 한 라인만 인정하여, 한 라인을 넘는 경우, 다음 라인의 첫칸에 “*”기호를 타이핑한 후, 이어지는 내용을 작성한다.
Element 카드는 회로 구성 정보 부분을 나타내며 대부분 한 라인 내에 작성한다. 한 라인을 넘는 경우, 다음 라인의 첫 칸에 “+” 기호를 타이핑한후, 이어지는 내용을 작성한다. 긴 문장인 경우, 계속해서 “+” 기호로 연결하여 작성한다.
(1) 저항
저항의 형식은 R<이름><+마디번호><-마디번호> [모델명] <저항값>
의 형식으로 작성하여야 한다. 모델명은 생략해도 되며, 저항의 예약어는 R으로 모든 저항의 이름은 첫문자를 R로 하여야한다.
(2) 커패시터
커패시터의 형식은 C<이름><+마디번호><-마디번호> [모델명] <커패시턴스값>[IC=초기값]
의 형식으로 작성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대괄호내에 있는 부분은 생략하여도 되며, 커패시터의 예약어는 C로 모든 커패시터의 이름은 첫문자를 C로 하여야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