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이문열 (세계의 문학, 호 여름호, 1987)
· 영화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박종원 (대동흥업, 1992)
· 임창재,「소설 텍스트를 통한 '폭력' 주제 읽기」,『서강교육』Vol.- No.1
· 박종홍,「이문열 소설의 권력, 애정, 예술」,『현대소설연구』Vol.- No.6
· 한명환,「소설<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과 각색영화의 비교」,『比較文學』Vol.26
· 김중철,「小說과 映畵의 서사전달 방식 비교」,『한양어문연구』Vol.13, 1995
· 김혜니,「내재적 비평문학의 이론과 실제」, 푸른 사상사, 2005
· 월프레드 L. 게린 외, 「문학비평입문」, 최재석 옮김, 한신문화사
· 한명환,「각색영화와의 비교를 통해 본 소설의 의미 재고」,『現代文學理論硏究』, 2005
· 황영미,「일인칭 소설의 영화화」,『문학과 영상』, Vol.2001 No.1, 2001
· 박경범,「이문열이 싫으면 그보다 나은 작가를 발굴하라」,『한국논단』,Vol.146, 2001
· 안남연,「이문열에 대한 이해와 분석」,『비교한국학』, Vol.4 No.-, 1998
· 황국명,「한국 현대 성장소설의 정치적 환상 연구」,『韓國文學論叢』, Vol.25 No.-, 1999
· 임헌영 ,「현대소설과 권력의 양상」,『현대소설연구』, Vol.- No.18, 2003
· 신강호,「<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의 스타일 분석」,『영화연구』, Vol.9 No.1, 1993
· 박수연,「영화 , 영화 기법의 담론들」,『문예시학』, Vol.10 No.1, 1999
· 김영민 ,「여운형, 이문열, 그리고 나·나·나(너)」,『철학과 현실』, Vol.34 No.-, 1997
· 梁善奎 ,「李文烈 소설의 '시대 착오성' 문제」,『開新語文硏究』, Vol.15 No.1, 1998
· 반경환,「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고발한다.」,『종려나무』, 2004
· 황명훈,「교실 내 권력의 문제를 다룬 소설 비교 연구」,『신라대학교』, 2002
· 최해수,「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과 타니자키 쥰이치로(谷崎潤一郞)의 <작은 왕국(小さな王國)> 비교연구」,『比較文學』, Vol.31 No.-, 2003
· 윤정헌,「스토리텔링의 구조 대비를 통해 본 서사양식의 변용 상 고찰」,『예비 비평연구』 , Vol.24 No.-, 2007
· 이진아,「성장소설을 통한 문학 교육 연구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우상의 눈물>, <아우를 위하여>를 중심으로」,아주대학교, 2008
· 한류리,「소설의 영상적 수용에 관한 연구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과 <봄봄>을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권필희,「독재정치기의 문학 속의 인물상연구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과 <우상의 눈물>를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김태련 외, 「발달심리학」, 학지사, 2007
· Richard J. Gerrig, Philip G. Zimbardo 저,「16판 심리학과 삶」, 시그마프레스, 2004
· 강봉규, 「인간발달」, 동문사, 2000
· 장휘숙,「인간발달-전생애 발달」, 전영사
· 민경환, 「성격심리학」, 법문사, 2007
· 캘빈 S.홀, 「프로이트 심리학」, 문예 출판사, 백상창 옮김, 2000
· 프로이드,「집단 심리학」, 박영신 옮김, 학문과 사상사, 1983
· 루이스브레거,「인간 발단의 통합적 이해-본능에서 정체성으로의 발달」, 홍강의, 이영시 옮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8
· Encyber 두산 백과사전 http://www.encyb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