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모델(SMCR, 선형 모델)
- 최초 등록일
- 2021.09.20
- 최종 저작일
- 2018.04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강원대학교 1학년 보건의사소통과목에서 의사소통모델 조사 과제 자료입니다. 내용은 똑같게 4학년 막학기인 제가 서식을 직접 바꿔서 한눈에 보기에도 매우 깔끔하게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의사소통모델 중에서 SMCR 모델과 선형 모델을 조사했습니다. 열심히 했어요! 후회하지 않으실겁니다.
이 과목 A+ 받았어요 :)
목차
1.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및 필요성
1)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2)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
2. 커뮤니케이션의 목적
3.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및 기능
1)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2)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4. Berlo의 SMCR 모델
1) Berlo의 모델의 구성요소
2) Berlo의 모델의 비판적 시각
5. 선형(linear) 모델
1) 선형(linear) 모델의 내용
2) 선형(linear) 모델의 구성 요소
3) 선형(linear) 모델의 비판적 시각
본문내용
1.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및 필요성
1)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우리는 평소에 “의사소통만 제대로 되었어도…”라는 생각을 자주 하곤 한다.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은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사람들 간에 자주 회자되는 원인 중 하나이다. 커뮤니케이션은 말을 말하는 것과 더불어 듣고 이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의사소통은 “말과 글을 주고받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영어로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라고 하는 의사소통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목표달성을 위한 정보나 아이디어의 전달 및 이해의 과정’으로 특정 당사자인 송신인(sender)과 수신인(receiver)을 포함하고 있다. 송신인은 개인이나 집단, 또는 조직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은 특정 형태의 메시지(message)나 정보(information)를 전달한다.
< 중 략 >
1) Berlo의 의사소통 모델의 구성 요소
(1) S : Sender (송신자)
송신자는 메시지의 원천 또는 메시지의 기원인 사람을 의미한다. 그 사람 또는 그 원천은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보낸다. 다음은 송신자와 관련된 요인들인 동시에 수신자에게 같이 적용된다.
① 의사소통 기술 : 의사소통 과정에 영향을 준다. 좋은 의사소통 기술을 가지고 있을수록 내용이 더 잘 전달될 것이다. 비슷하게, 만약 수신자가 그 메시지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 의사소통은 효과적이지 못할 것이다. 말하기, 발표하기, 읽기, 쓰기, 듣기 등을 포함한다.
② 태도 : 송신자와 수신자의 태도는 메시지의 영향력을 만들어낸다. 한 사람의 그들 자신, 수신자, 또는 환경으로의 태도는 메시지의 의미와 영향력을 바꾼다.
< 중 략 >
3) 선형(linear) 모델에 대한 비판적 시각
- 커뮤니케이션의 특정한 시작과 끝이 있다고 가정, 지속적인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에 비적합하게도 어떠한 피드백의 개념도 없다.
참고 자료
https://www.businesstopia.net/communication/linear-model-communication
https://www.businesstopia.net/communication/berlo-model-communication
안상윤· 외, 『보건의사소통』, 보문각, 201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