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과제
논문들 비교하며 쓴 글입니다.
우리나라 및 국제보건의료 동향 비교 - 방문건강관리
목차
Ⅰ. 서론
1. 학습 필요성
2. 보고서 작성의 일반적 목적, 구체적 목표
Ⅱ. 본론
1. 우리나라 및 일본의 사회 및 보건의료현황
2. 우리나라와 일본의 사회 및 방문건강관리에 대한 비교
Ⅲ. 결론
1. 학습 필요성과 목적에 관련된 지역사회간호 중심의 결론 도출
Ⅳ. 자료수집 절차와 방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학습 필요성
우리나라는 노인 인구비율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2024년에는 치매환자 100만, 2026년에는 노인 인구 천만 명이상의 시대가 초래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인구 고령화와 더불어 만성질환 유병율 및 합병증도 증가되고 있으며 노인에 대한 장기요양서비스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한국 노인의 90%이상이 한 가지 이상의 질환을 앓고 있어 방문간호는 대상자의 건강문제 관리, 안위 도모, 일상수행능력 증진 등에 있어 매우 필수적인 사업이다.
2017년에 실시한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노인 57.6%가 ‘거동이 불편해도 살던 곳에서 여생을 마치고 싶다’고 보고되었다. 노인은 불편하고 아프더라도 집에서 여생을 보낼 것을 원하지만 가족들은 돌봄에 있어 막대한 부담을 느끼고, 부족한 재가 보건의료 및 사회서비스 등의 이유로 병원이나 시설에서 여생을 보내야 하는 상황이다. 때문에, 주거, 보건의료, 요양 및 돌봄, 독립생활 모두가 확보될 수 있는 방문간호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방문간호사업의 대상자 선택률을 높이고 사업의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사업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서비스 질을 보장할 수 있는 조건을 구성해 나가야 하며 이런 측면의 아이디어 도출은 선진국 사례의 확인을 통해 가능하다. 때문에, 많은 나라 중 어떤 나라를 선택할지 고민하다 이웃 나라인 일본을 먼저 떠오르게 되었고 우리나라와 일본의 고령화 사회에 대한 역사를 알아보았다.
우리나라는 구체적으로 2000년에 고령화사회, 2017년에 고령사회로 진입하였고 2026년에 초고령사회 진입을 예상한다. 이웃 나라인 일본은 1970년에 고령화사회, 1994년에 고령사회, 2005년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하였으며 우리나라보다 심각한 인구 고령화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때문에, 먼저 고령화에 대한 정책을 시행해 왔을 일본을 벤치마킹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여 선택하였다.
2. 보고서 작성의 일반적 목적, 구체적 목표
· 우리나라 및 일본의 보건의료현황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
· 우리나라 및 일본의 방문건강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차이점을 말할 수 있다.
- 보건의료조직 및 제도
- 방문간호서비스 주관조직 및 제정
- 방문간호서비스 인력 및 내용
- 장기요양서비스
· 우리나라와 일본의 방문건강관리를 비교 분석하여 대안점을 말할 수 있다.
참고 자료
OECD 홈페이지 https://stats.oecd.org/Index.aspx?ThemeTreeId=9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vwcd=MT_RTITLE&menuId=M_02_01_01#content-group
김용순 (2008). 가정간호총론. 파주: 군자출판사.
이영란 외 (2018). 원론 지역사회간호학(7). 서울: 신광출판사.
한영란, 양숙자, 함옥경, 이건아, 김서현, 하재영 (2020). 국외 커뮤니티 케어의 방문간호서비스 사례 분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4(1), 5-21.
성명숙, 장희정, 김춘길, 강경화, 남경아, 박종덕 (2010). 방문간호의 국내외 현황분석 한국, 미국, 일본,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4(2), 21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