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시인론 - 일본어 시의 특징과 <오감도>의 총체성을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21.09.04
- 최종 저작일
- 2020.05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2020년 1학기 임수경 교수님의 <모더니즘시인론> 수업 중간 과제로 제출했던 시인론 레포트입니다. 시인 '이상'의 <오감도>를 중심으로, 이상의 작품 세계를 함축하고 대표하는 시로서의 <오감도>를 분석한 레포트입니다.
목차
1. 서론과 생애
2. 시의 특성과 분류
3. 오감도의 정체성
4. 이상 문학의 지향점과 결론
본문내용
1. 서론과 생애
이상은 1930년대 한국 현대문학사를 대표하는 모더니즘 시인 중 한 명이다. 이상은 생전에는 다른 모더니즘 시인인 김기림, 정지용, 오장환, 백석 등과 같은 유명세를 얻지도 못했고, 문단이나 대중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내는 것 역시 실패했다. 이러한 실패의 대표적인 이유로는 난해한 형식과 실험적인 방식을 앞세운 그의 전위적인 시들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오늘날 이상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여겨지는 「오감도」는 신문 연재 당시 독자의 강한 항의에 부딪혀 연재가 중단되기도 했다. 기하학이나 폐결핵, 죽음 등의 소재를 앞세운 이상의 실험적인 시들은 비록 당시에는 그 독특함으로 인한 고유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한국 현대문학사에 남긴 발자취는 작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의 난해한 시가 끼치는 영향력은 현재까지도 유효하며, 여전히 완벽한 해석의 부재로 계속해서 새로운 해석이 대상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은 상당히 실험적이고 파격적인 방식의 문학을 통해, 독특한 모더니티를 지향하고 문학의 진보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재발견하고 시의 지향점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이상은 1910년 경성에서 태어나 두 돌을 넘기면서 친부를 떠나 백부 김연필의 집에서 자랐다. 그는 1926년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과에 입학했고, 1929년 조선총독부 내무국 건축과 기수가 되었다. 이상은 1930년에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한 종합 홍보지인 《조선》에 국문 장편소설인「12월 12일」을 연재하면서 문학적 글쓰기를 시작하였다.
참고 자료
권영민,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탄생』, 서울: 세창출판사, 2017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2179&cid=46645&categoryId=46645, 2020.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