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를 이용한 미생물의 생육저해
- 최초 등록일
- 2021.08.20
- 최종 저작일
- 2015.06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3. 재료및 기구
4. 실험방법
5. 결과 분석 및 디스커션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항생제의 효과와 과다 사용에 의한 문제점에 대해서 공부하며, 항생제에 대한 미생물의 내성과 저항성을 알 수 있다.
2. 실험 이론
➀ 항생제 (antibiotics)
1929년, 영국의 세균학자 알렉산더 플레밍이 페니실린을 발견한 이래로 스트렙토마이신, 카나마이신 등 잇따라 새로운 항생물질이 발견되어, 그 수는 현재까지에 5000종 이상에 이르고 있다. 항생물질이란 ‘생명활동을 방해하는 물질’이라는 뜻으로, 미생물이 만들어내어, 다른 미생물의 발육과 증식의 기능을 저지 또는 억제하는 물질을 말한다. 어떤 항생물질이 여러 종류의 세균에 효력이 있는 것은 이들 세균의 생존의 짜임인 효소라든가 단백질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항생물질은, 그 절대적인 효과 때문에 대량으로 사용된 결과, 그 마이너스 면도 표면화되어버렸다. 그 하나는 부작용의 문제이다. 항생제는 일정한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복용하여 균을 죽일 수 있는 최소의 혈중 농도를 항상 유지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증세가 완전히 없어진 후에도 2∼3일은 더 사용해야 한다. 증세가 없어졌다고 해도 몸 안에 균이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럴 때 항생제의 사용을 중단하면 남아 있던 균들이 내성균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성균은 다른 균에도 내성을 전이시켜서 내성균이 계속 늘어나게 하기 때문에 내성이 생기면 항균력이 더 강한 항생제를 사용하든지 다른 계열의 항생제로 바꾸어야 한다.
1) 항생물질
곰팡이나 세균들이 자신들의 생존을 위하여 외부로부터 다른 미생물의 침입을 방어하려고 분비해내는 물질이다. Anti는 ‘대항’한다는 뜻이고 ‘biotic’은 그리스어의 ‘bios’의 뜻으로 병원체의 생명에 대항하는 물질이라는 뜻이다.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항생제 [antibiotics, 抗生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슈퍼박테리아 [super bacteria]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다중약물내성 [multidrug resistance, 多重藥物耐性]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도서출판 여초)
[네이버 지식백과]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黃色葡萄狀球菌]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도서출판 여초)
[네이버 지식백과] 액체 배지 [液體培地, liquid medium, flüssiger Boden] (화학대사전, 2001. 5. 20., 세화)
[네이버 지식백과] 암피실린 [ampicillin]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도서출판 여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