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생물학실험]어류의 외형 및 해부 관찰
- 최초 등록일
- 2021.08.18
- 최종 저작일
- 2021.08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500원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및 원리
1) 실험배경
2) 어류의 정의
3) 어류의 분류
4) 어류의 형태 및 해부
5) 어류의 운동
6) 어류의 외형
7) 내장 여러 기관의 관찰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1) 관찰결과
6. 토의 사항
1) 실험고찰
2) 질문사항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가. 잉어목 잉어과에 속하는 붕어의 외형을 관찰하고 해부를 통해서 붕어의 특징을 이해한다.
2. 실험 이론 및 원리
가. 실험 배경
어류란 분류학적으로 척추동물문, 척추동물아문에 속하는 물에 사는 아가미가 있는 척추동물이다. 어류가 다른 척추동물들과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은 지느러미가 있다는 점이다. 진화하면서 지느러미가 사라진 어류도 있지만, 대부분은 지느러미를 이용해 이동한다. 어류는 지느러미를 이용해 물의 흐름과 상관없이 한곳에 머무르거나 뒤로 헤엄칠 수도 있다. 어류는 일반적으로는 먹장어강, 익갑강, 두갑강, 판피어강, 연골어강, 극어강, 조기어강, 육기어강 등으로 8개의 강으로 나누며 익갑강, 판피어강, 극어강 등 3개의 강은 전멸된 분류군이다. 대부분의 경우 냉혈동물이지만 참치나 상어와 같은 몇 종은 온혈이기도 하다. 또한 지구상에는 2만 9천 종의 어류가 있으며 척추동물 중에는 가장 많은 종을 보유하고 있다.
물고기는 머리, 몸통, 꼬리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통에는 가슴지느러미, 배지느러미, 등 지느러미가 있고 꼬리에는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가 있다. 또한 어류는 체형에 따라 유선형과 같은 방추형, 체고는 높고 체폭은 좁은 측편형, 체고는 낮지만, 체폭이 넓은 종편형, 뱀장어와 같은 장어형, 미꾸리와 같은 리본형, 복어류와 같은 구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어류의 꼬리 지느러미의 모양도 종류에 따라 다른데, 붕어와 같은 양엽형, 오목형, 절단형, 원형, 뾰족형, 창형이 있다. 어류도 사람과 같이 뼈대가 있어 몸을 지탱한다. 뼈는 연골라고 하는 물렁뼈와 결골이 있다. 상어나 가오리 같은 어류는 물렁뼈로 되어있어 연골어류라고 하며, 그 밖 대부분의 어류는 경골어류이다. 다른 척추동물과 마찬가지로 어류 또한 다양한 생활 방식에 따라 여러 크기와 모양으로 진화되어 왔기 때문에 어류의 뼈를 이용하여 계통 유연관계를 연구하기도 한다. 연골어류와 경골어류는 대부분 비늘을 가지고 있다.
참고 자료
Campbell et al. 2008. Biology. p. 78
Reece J.B., 2011, Campbell Biology, pearson, pp. 83.82
실험동물비교해부학.1999.이종욱 외 공저.형설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