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암 case(문헌고찰, 건강력, 투약, 검사,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 3개), 결론없음(실습소감)
- 최초 등록일
- 2021.08.14
- 최종 저작일
- 2021.07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결론 부분은 실습소감을 기입하시면 됩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신장암 문헌고찰
2. 건강력
3. 진단검사
4. 투약
5.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2020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8년 우리나라에서는 243,837건의 암이 발생했는데 그 중 신장암은 남녀를 합쳐서 5,456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2.2%로 10위를 차지했습니다. 그래서 최근 배운 신장질환 중 신장암에 대해 더 알아보고 간호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Ⅱ. 본론
1. 신장암(renal cell carcinoma) 문헌고찰
1) 정의 : 신장의 실질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
2) 원인 : 불명확하나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은 흡연이며 주로 50~70대 남성에게 흔히 발생
3) 증상 : 육안으로 보이는 혈뇨, 군한 옆구리 통증, 복부 덩어리 촉지
5) 진단/검사
(1) 임상병리검사
(2) 복부 초음파검사 : 복부의 주요 고형장기 즉, 간, 췌장, 비장, 신장과 액체인 담즙이나 소변이 방광을 검사
(3) 복부 전산화단층촬영(CT) : 복부통증, 배 속 장기인 소장, 대장, 간, 담낭, 췌장, 신장 등 질병을 진단할 때
6) 치료 및 간호
(1) 수술 : 신장암의 일차적인 치료방법인 신장절제술(부분신장절제술과 근피신장절제술)
① 수술 전 간호
- 수술 전에 전반적인 신기능을 검사하고 최적의 기능을 유지
- 검사 : CBC, 혈액응고검사, 전해질검사, 혈액화학검사
- 금식 : 일반적으로 수술 전날 자정부터 금식
- 신장 독성물질 주의 : 신장에 독성이 있는 항생제와 조영제의 사용을 금함
- 출혈경향 및 감염증상 관찰 : 항응고제 복용 여부를 확인하고 인후통, 열 등의 감기 증상이 있는지 확인
- 불안 완화 : 수술 방법과 과정, 예후, 기대되는 결과 등을 설명하고 대상자의 느낌을 표현하도록지지
- 대상자 교육 : 수술 후 심호흡과 기침의 중요성과 방법을 설명하고 조기이상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
② 수술 후 간호
- 출혈 증상 확인
수술부위에 삽입된 배액주머니에서 나온 배액물의 양과 특성을 확인
수술부위 출혈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드레싱을 관찰
참고 자료
항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9, p.183~185
네이버지식백과, 「신장암」서울대학병원 의학정보, 2021. 06. 29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943&cid=51007&categoryId=51007
채원, 「신장암의 모든 것 - 신장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예방법」, 더셀 채원병원, 2021. 06. 29
https://blog.naver.com/codnjswkdus/221293637956
질병지혜쏙쏙, 「흡연과 비만이 주법?! 신장암의 증상과 예방법에 대하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https://blog.naver.com/happy_snubh/221837237280
약물검색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