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중국의 온라인 검열과 신공민운동에 대하여

.
1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1.08.14 최종저작일 2021.05
15P 미리보기
중국의 온라인 검열과 신공민운동에 대하여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

    목차

    1. 서론
    2. 중국의 인터넷과 모바일 인터넷 통제 메커니즘
    3. 신공민운동
    4. 신공민운동 이후의 중국 사이버 규제 강화
    5. 결론
    6. 느낀점 및 온라인 검열에 대한 생각
    7. 토론주제
    8. 참고자료

    본문내용

    인터넷 통제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모든 범위에서 인터넷 정보 사업자(Internet Contents Provider, ICP)의 활동 규제를 의미한다. 인터넷 통제는 자본주의나 사회주의 체제의 고유한 특징이 아닌 어느 체제에서든지 나타날 수 있는 보편적 현상이다. 두 체제의 공통 특징은 외부의 위협으로부터의 국가를 보호하는 데 있지만, 통제의 목적은 각기 다르다. 자본주의에서는 인종 간의 갈등, 정치적 비방, 음란물의 유포·확산, 사생활 보호 같은 공익에 목적을 두고 중점적으로 통제한다. 그러나 사회주의 체제에서는 공익성을 표방하지만 권위주의 체제유지가 인터넷 통제의 우선 목적이다.
    중국의 인터넷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해 2020년 기준 중국 전체인구 14억 1178만 명 중 9억 8899만 명(70.4%)이다. 중국 지도부는 급속한 인터넷 성장에 상응하는 통제 메커니즘을 구축해왔으며, 시진핑 시기에 이르기까지 성공적으로 인터넷을 발전시켜 왔다. 특히 2012년에 접어들어 중국의 인터넷 보급률이 둔화된 반면,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는 급증했다. 중국인은 데스크톱 혹은 노트북보다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터넷 접속을 선호하기 시작했다.
    중국 누리꾼은 인터넷이 통제된 상황임에도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고 모든 정보를 획득하는 능력을 지녔다고 여기기 때문에 좀처럼 정부에 저항하지 않는다. 단지 중국 지도부의 유일한 우려는 잠재된 집단행동과 연관된 담론 형성이다. 집단행동 시 인터넷은 개인감정과 집단 정체성을 동원할 수 있는 도구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인민 개개인이 중국 지도부를 탐탁지 않게 여길지라도, 지도부의 권력 그 자체를 위협하진 않는다. 대다수의 중국 누리꾼은 정부 이데올로기를 준수하고 있으며 정치문제에 관심이 덜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인은 사이버 공간에서 개인으로서 자유롭지만, 집단으로 엮여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 이민자, “중국 정부의 인터넷 통제: 새장 속의 자유”, 「중소연구」, 199-231
    ·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13) 중국의 인터넷 통제 정책 현황
    · 김진용(2013), “중국의 인터넷 통제 메커니즘”, 「한국정보화진흥원」
    · 이정남(2015), “중국 군체성 사건의 새로운 변화와 특징: 분절적 저항행위에서 사회운동의 맹아적 형태로”, 「국가전략」, 제21권 2호, 117-144.
    · 문혜정(2016), “중국 ‘신(新) 국가안전법’ 제정과 사이버 규제의강화”, 「언론중재위원회」, 88-95.
    · 이정남(2016), “인터넷시대의 출현과 중국 군체성 사건의 발전-‘신공민운동’을 사례로-”, 「한중사회과학연구」, 14집 2호, 281-311.
    · 김준영(2017), “중국 국가안전법제의 체계 연구- 신 ‘「국가안전법」(国家安全法)’을 중심으로 -”. 「한중법학회」, 통권 32호, 14-27.
    · 정원교(2020), “중국 언론, 코로나19 왜 조기경보 못 울렸나”, 「관훈저널」, 225-234.
    · CNNIC(2021), “第47次《中国互联网络发展状况统计报告》”
    · Xu Zhiyong, “The New Citizens Movement in China”, CHINA CHANGE, 2012.07.11.
    · https://chinachange.org/2012/07/11/china-needs-a-new-citizens-movement-xu-zhiyongs-%E8%AE%B8%E5%BF%97%E6%B0%B8-controversial-essay/(2021.05.11)
    · 조재석, 황유정, “인터넷 검열을 통제로 여기지 않는 중국사회‘. 고대신문, 2016.03.08.
    · http://www.kunews.ac.kr/news/articleView.html?idxno=22525
    · 유수현, “[카드뉴스] 6월 시행, 중국의 사이버보안법 알아보기”, 보안뉴스, 2017.05.29.
    ·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4993&kind=2
    · 전다운, “온라인 검열 나선 시진핑 2기, 스마트폰 앱 307개 삭제”, 공감신문, 2018.04.18.
    · https://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42807
    · 황민규, “중국, 네이버 접속 전면 차단…“텐안먼 30주년, 인터넷 검열 강화”“,조선비즈, 2019.06.11.
    ·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11/2019061102296.html
    · FreedomHouse(2020)https://freedomhouse.org/country/china/freedom-net/2020
    · 지해범, “청년들의 분노가 시진핑 체제 흔들고 있다”, 주간조선, 2020.02.17.
    · http://m.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595100006&ctcd=C07(2021.05.11)
    · 정재용, “中, 가짜뉴스 차단 전용 플랫폼 개발…온라인 통제강화”, 연합뉴스, 2020.09.01.
    · https://www.yna.co.kr/view/AKR20200901083900009?input=1195m
    · 이인서, ““80년대 보도지침 데자뷔”…中, 코로나 온라인 검열 실체 드러나“ 한국일보, 2020.12.21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122113160005444?did=NA
    · 안양봉, “中 지식인 “언론 자유 보장하라”…확진자 15,000명 증가“, KBS NEWS, 2020.02.13.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381006(2021.05.16)
    · 황남희, “[월드 인사이트] 중국, 리원량 '추모글' 삭제…언론탄압 비판”, JTBC뉴스, 2021.05.16.
    · https://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933633(2021.05.16)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