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생활교육 ) 최근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1인 가구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1인 가구의 생활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교육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1.07.15
- 최종 저작일
- 2021.07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인 가구는 현대 사회에서 급격한 변화로 빠르게 증가하는 초소형 가구의 형태를 말하며, 1인 가구의 경우 법적 배우자가 존재하더라도 동거하지 않거나 경제생활의 공유가 없는 가구 혹은 이혼 전 단계로 별거를 선택해 단독으로 가구를 구성하는 세대나 기러기가족, 주말부부 등과 같이 가족원과의 별거로 인한 1인 가구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정의로는 1인 가구가 혼자 사는 사람을 지칭하며, 독립된 공간 속에서 의식주와 같은 일상생활을 혼자 영위하는 사람을 통칭한다. 이 외에도 가족 구성원이 없이 단독으로 세대의 분리로 혼자 생활하는 가구, 혹은 1인이 독립적으로 취사나 취침과 같은 생계를 유지하는 가구 등으로 다양하게 정의도고 있다. 이러한 1인가구의 정의 및 특성을 알아보고, 1인 가구의 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교육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다양한 연구를 통해 1인 가구의 정의나 특성은 다양하다. 통상적으로 가족 구성원이 없고 혼자 의식주의 생활을 영위하는 가구로 정리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배우자와 동거하지 않고 경제적 생활을 공유하지 않는 경우나 이혼 전 별거, 기러기가족, 주말부부와 같은 경우도 1인 가구에 포함할 수 있다. 서울시의 경우 2010년 기준으로 여성의 1인가구가 20세 미만에서 저조하다가 20대에서 급증하고 30대와 40대부터 급감하다가 50대와 60대에서는 변화의 저조함을 보였고 80대부터 다시 급감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1인가구의 급증은 1990년 9%에서 2015년에는 약 27%로 3배나 증가하였으며 2025년에는 약 31%로 인구의 1/3이 1인 가구의 형태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사회에서의 1인 가구는 더 이상 특별한 존재로 여겨지지 않으며, 1인 가구의 증가에 대한 많은 사회적 관심이 요구되며 이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도 많이 변화하고 있다.
참고 자료
김상훈. "여성 1인가구 주거환경의 CPTED 적용 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5. 서울
http://www.riss.kr/link?id=T13731936
함연주. "청년 1인가구 여가인식탐색."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서울
http://www.riss.kr/link?id=T15299899
서울특별시 건강가정지원센터, 2018 서울가족특성화 연구보고서 서울지역 1인 가구 현황 분석에 따른 가족 지원 프로그램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