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관리 ) 주식회사의 장점은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운영된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반면, 대리인 문제가 존재한다. 대리인 문제점은 무엇이며 대리인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은 무엇인가
- 최초 등록일
- 2021.07.15
- 최종 저작일
- 2021.07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1) 기업 이미지 훼손 - 스타벅스(Starbucks)
2) 기업 파산 - 2001 엔론(Enron)의 파산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리인 문제(Agency Problem)는 개인 또는 집단의 이해와 결부되는 일련의 사항을 타인에게 위임할 때 발생하는 대리인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일컫는다. 대리인 관계는 위임하는 자를 주인, 위임받는 자를 대리인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주인·대리인 관계라고도 불린다. 대리인 문제는 주인과 대리인 사이의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야기된다는 것이 정론이다. 대리인은 주인보다 특정 문제에 대하여 높은 전문성과 많은 정보를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주인 - 대리인 관계가 성립하는 것이다. 이는 주인이 대리인에게 높은 수준의 재량을 부여하게 만든다. 따라서 대리인은 재량의 수준 안에서 본인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활동을 하게 된다. 대리인 문제를 논한 대표적인 학자인 마이클 젠슨(Michael Jensen)에 의하면, 주인은 자신의 이익을 달성할 대리인을 고용하지만, 대리인은 자신의 이익을 위한 활동을 추구한다. 고용 상태를 달성한 대리인은 주인의 이익보다 대리인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일명 ‘숨겨진 행위(Hidden action)’를 한다. 숨겨진 행위가 수반하는 비용은 주인이 부담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대리인 문제는 모럴 해저드(Moral hazard, 도덕적 해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주인은 대리인이 주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합한 활동을 이행하고 있는지 관찰하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대리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특히 대리인 문제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 구체적인 기업의 사례를 들어 설명한 후, 이로 인해 발생한 대리인 비용에 대해 논할 것이며 이를 해결할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참고 자료
장상훈, 「기업의 지배구조, 소유구조와 대리인비용」,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http://www.riss.kr/link?id=T11581698
이상철, 권영주, 「공익사업에 있어서 민간참여자의 대리인 문제」,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5.1』, 2009 http://www.riss.kr/link?id=A101969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