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을 시대적으로 구분하여 제시해 보자
- 최초 등록일
- 2021.07.14
- 최종 저작일
- 2021.07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평생교육론
주제: 우리나라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을 시대적으로 구분하여 제시해 보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평생교육의 시대적 발전 과정
1) 1980년대의 평생교육
2) 1990년대의 평생교육
3) 2000년대의 평생교육
2. 평생학습진흥기본계획
1) 제1차 평생학습진흥기본계획
2) 제2차 평생학습진흥기본계획
3) 제3차 평생학습진흥기본계획
4) 제4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대사회는 지식기반사회로 변화하면서 그 중요성이 커지기 시작하였다. 평생교육은 지식기반사회로 대변되고 있는 시대적 패러다임에 따라 국가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저출산과 고령화, 양극화 등의 사회적 문제에 따라서 평생학습이 사회통합형 안전망의 구축이라는 역할도 하게 되었고 이는 평생학습으로 지식 격차의 완화와 소외계층을 포함하는 사회적 통합을 이루어서 국가의 발전과 개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도움을 주게 된다.
이와 함께 세계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로 글로컬 네트워크의 활성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시대가 도래하게 되면서 국가 단위의 경제는 희미해지기 시작하였고 지역 단위의 사회구성원 합의와 자율 및 창의성을 발휘하는 것이 지역 발전의 결정적 요소로 부각 되고 있다. 인재를 양성하고 평생학습의 여건을 조성하는 것은 지역경쟁력을 키우는 데도 이바지하게 된다. 또한 평생학습을 통하여 지역사회에서 공유되고 있는 가치 및 규범의 창출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구성원들은 신뢰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전 생애에 걸쳐서 평생학습과 선진시민으로서 합리적인 가치관 및 태도를 형성하고 직업 능력과 사회적응 능력을 키워 지역 경쟁력을 높이게 된다.
참고 자료
윤여각 외 2명, 「평생교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09.01.25.
차갑부, 「학습력사회의 평생교육, 교육과학사, 2020.01.20.
박은희 외 1명, 「평생교육, 과거와 현재」, 대구경북연구원, 2010.12.16.
교육부, 제4차 「평생교육진흥 기본계획」, 201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