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에세이] 한반도 통일과 미중일
- 최초 등록일
- 2021.07.02
- 최종 저작일
- 2013.1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한반도 통일과 통일후 미중일의 인식 및 이익에 대해 생각해본 에세이 형식의 리포트입니다.
* 폰트 10pt, 줄간격 160%를 준수하였습니다.
목차
1. 서론
2. 통일의 당위성
1) 통일이 우리에게 가져다 줄 혜택은 통일비용을 압도할 정도로 엄청나다
2) 분단비용
3. 통일에 대한 주변국들의 인식
1) 한반도 통일과 미국의 국가이익
2) 한반도 통일과 중국의 국가이익
3) 한반도 통일과 일본의 국가이익
4. 통일과제
5. 마치며
본문내용
외국인에게 ‘한국’과 관련해 떠오르는 것을 묻는다면 가장 먼저 나오는 대답은 ‘북한’이다. 외국인들이 보기에는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은 항상 ‘북한’이라는 위협요소가 존재하는, 불안해 보이는 나라이다. 그렇지만 실상 한국에서 태어나 지금까지 살고 있는 남한 국민들은 북한 뉴스에 대해 무관심하기조차 하다. 이는 한국인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변화에서 기인한다. 이전의 북한이 ‘남한체제의 전복을 꾀하는 존재’였다면, 지금의 북한은 우리를 ‘더 이상 위협할 수 없는 상대’로 인식된다. 그러나 여전히 북한은 우리의 정치ㆍ사회ㆍ경제 등 제반 영역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존재이다.
지금 우리는 통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예전에는 통일이 당연한 ‘지상과제’였지만 요즘 사람들은 통일에 대해서 ‘무관심’하거나 ‘반대’를 하는 경향이 많이 보인다. 통일을 당연한 우리의 과제로 믿고 살아온 기성세대와는 달리 요즘의 젊은 세대는 ‘우리는 한민족’이라는 명제에 쉽게 공감하지 않는다. 통일을 강조하는 기성세대에게 젊은이들은 “통일을 왜 하는가”라고 반문한다. 통일이 우리에게 주는 이익이 무엇이냐를 묻는 것이다.
참고 자료
통일을 보는 눈: 왜 통일을 해야 하느냐고 묻는 이들을 위한 통일론, 이종석, 개마고원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임현진ㆍ정영철, 서울대학교출판부
통일한국에 대한 국제적 우려해소와 편익: 지역 및 주변국 차원, 박종철, 고봉준, 김성진, 박영준, 신상진, 이승주, 황기식, 통일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