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한류(韓流)문화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세계에서 바라보는 우리나라의 인식 측면에서 논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1.06.28
- 최종 저작일
- 2021.06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사회학개론
주제: 전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한류(韓流)문화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세계에서 바라보는 우리나라의 인식 측면에서 논하시오
목차
1. 서론
2. 한류문화
3. 순기능
4. 역기능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코로나 시대에 한류는‘방역 한류프로젝트’란 새로운 갈래를 가지게 되었다. 한국의 마스크, 진단키트, 방진복이 국제적으로 우수한 질을 지녀, 브라질과 인도 등 해외에 주요 공급망을 형성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료 용품의 공급망을 기반으로, 새로운 글로벌 사업을 발굴하려는 계획도 추진되고 있으며, 이 공급망이 중남미와 북아메리카로 확대되고 있기도 하다.
이렇듯 한류의 세부 분야와 주요 사업들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확대 양상을 가지는 한류가 한국의 대외적인 인식에 가지는 영향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를 탐구하기 위해 본문은 우선 한류의 흥행 요인과 발전 양상을 살피고, 전세계적인 한국의 인식에 대한 순기능과 역기능을 정리하도록 하겠다.
II. 한류문화
1. 한류의 시작
‘한류’라는 용어는 1997년부터 한국의 대중문화가 중국에 성공적으로 진출하면서 중국 언론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이에 양해림(2012)에 의하면 일각에서는 한류를 “1997년이라는 우연한 시간에 한국 드라마 및 대중음악이 중국에 상륙하면서 형성된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한다.
참고 자료
양해림, 2012, “문화의 교류와 한류문화 그리고 그 미래 -문화의 자본화와 탈상업주의화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장정함, 2019, “한류가 국가이미지, 제품이미지 및 한국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대학원
정용운, 2020.07.30, “한국마스크산업협회, 방역 한류 세계 공급망 체계 구축한다”, 스포츠동아, https://sports.donga.com/article/all/20200730/1022347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