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식품미생물학실험 레포트(Differentiation of viable & dead yeast cells)
- 최초 등록일
- 2021.06.26
- 최종 저작일
- 2021.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 받은 식품미생물학실험 레포트입니다.
Differentiation of viable & dead yeast cells (효모 viability 측정)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Method
4. Result&Discussion
1) 효모 관찰 시 발생한 오차 요인
2) 유산균들이 효모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5. Homework
6. Reference
본문내용
1. Abstract
이번 실험은 mythylene blue를 통해 yeast의 viable cell과 dead cell을 구분하고, viable cell counting을 통해 yeast의 viability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yeast는 진균류에 속하는 단세포 진핵생물로, 맥주 및 제빵 등 식품산업에 다양하게 적용되는 미생물이다. 효모의 viability를 측정하기 위해 먼저 희석한 효모 sample에 methylene blue를 넣고 2분간 염색시킨다. 시료를 haemocytometer에 떨어뜨리고 현미경을 통해 염색되지 않은 효모(colorless)의 viabel cell을 계수한 뒤 평균값을 통해 viablity를 계산한다. 실험 결과, 희석배수 103 시료에서 계수하여 1번 시료에서는 345개, 2번 시료에서는 258개가 나왔고, viability 계산 결과 1.51 x 109 cells/mL이 나왔다. 살아있는 효모를 정확히 계수하기 위해선 메틸렌 블루의 염색 시간을 철저히 지키고 신속하게 계수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며, 실험 중 시간 지연을 줄이기 위해선 현미경 검경 및 실험 방법에 대한 숙련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2. Introduction
1) Yeast
● 일반적 특징
효모는 진균류에 속하는 단세포 진핵생물로, Ascomycota와 Basidiomycota 두 개의 문(phyla)에 분포되었다. 효모는 약 1500여 종이 알려져 있으나 양조나 제빵 등에 사용되는 Saccharomyces가 가장 대표적이다.
효모 세포는 지름이 평균 3-4 μm 정도로 전반적으로 세균 세포보다 크고 내부 세포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현미경 관찰로도 구분이 가능하다. 효모는 탄소원으로 포도당이나 과당과 같은 육탄당이나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등의 이당류를 사용하며 효모 중 몇몇 종은 리보오스 등 오탄당의 대사가 가능하다.
참고 자료
이건형 외 16인. 벤슨의 미생물학 실험. 2015. 동화기술, p. 67-73.
[논문] Chul-Hong Kim 외 1인. Effects of Yeast Growth Inhibiting and Yogurt Quality Improving with Lactobacillus paracasei and Lactobacillus rhamnosus. 2016. Journal of Life Science, 26(12), p. 1438-1443.
“효모”. 네이버 지식백과(미생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145070&cid=61232&categoryId=61232.
“알코올 발효”. 네이버 지식백과(미생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03303&cid=61232&categoryId=61232#toc1.
“Methylene blue test”.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Methylene_blue.
“메틸렌 블루”.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2841&cid=40942&categoryId=32403.
“메틸렌 블루”. 네이버 지식백과(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73604&cid=62802&categoryId=62802.
“Gravity(alcoholic beverage)”.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Gravity_(alcoholic_beve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