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 결과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1.06.19
- 최종 저작일
- 2020.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실험명
Ⅱ. 실험 목적 및 원리
Ⅲ. 실험 도구 및 방법
Ⅳ. 실험 결과
Ⅴ. 고찰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이번 실험에서 문제가 하나 있는데 이는 우리가 대조 실험하기 위한 표준용액의 농도 및 흡광도 범위와 미지시료의 농도 및 흡광도의 범위가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정확한 실험을 하였는지, 오차는 없는지를 분명하게 알 수는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미지시료의 흡광도 값으로 표준용액 농도와의 범위를 비교하여 정확하게 농도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표준용액과 미지시료의 농도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지시료를 희석하여 측정하거나 표준용액의 농도를 조금씩 높인 검량선 기준으로 측정하면 정확한 값을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다만, 이번 실험의 미지시료의 유입수 농도가 7.4 mg/L임을 생각해보면 우리가 측정한 미지시료는 1차 침전지만 거치고 생물반응조는 거치지 않았기에 5~7 mg/L의 값을 갖을 것이라 예상되며, 이에 따라 이번 우리 실험은 높은 정확성을 갖으며 검량선 공식으로 계산한 값이 예상 범위에 포함되기에 큰 오차 없이 진행되었다고 생각한다.
참고 자료
권수열, 윤주환 (2007). 수질시험법,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pp 202-212, 272-277
Sawyer,C.N., McCarty,P.L. and Perkin M. (2002). 환경화학(Chemistry for Environmental Engineers and science, 5th Ed). 김덕찬 역. 동화기술. pp 479-486, 740-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