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성훈·배보경·전창록·김성훈, 『4차 산업혁명 시대, 어떻게 일할 것인가 :기하급수 기업을 만드는 비즈니스 혁신 전략』, 리더스북, 2018, P.21, P.59, P.67, P.181~183
· 살림 이스마일·마이클 말론·유리 반 헤이스트, 『기하급수 시대가 온다』, 청림출판, 2016
· 대학내일 20대 연구소, 『트렌드 MZ 2019』, 한빛비즈, 2018
· 대학내일 20대 연구소, 『2018 20대 트렌드 리포트』, 2017
· 김동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디어·콘텐츠 노동 환경의 변화 - 넷플릭스의 '데이터 경영' 사례를 중심으로」, 케이블티비브이오디, 2017
· 문성길, 「넷플릭스(Netflix)의 신기술 활용 혁신전략에 관한 연구 : 빅뱅파괴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5
· 류은주 기자, 「넷플릭스, '요금인상' 여파 2Q 실적 기대 이하…시총 28조 증발」, 『IT Chosun』, 2019.07.18., 접속일 2019.09.23.
· 김형원 기자, 「넷플릭스 1분기 매출 8%↑ 5조1245억원…이용자수 960만명↑」, 『IT Chosun』, 2019.04.17., 접속일 2019.09.23.
· 박수련 기자, 「[틴틴 경제] 오픈 이노베이션이 뭔가요?」, 『중앙일보』, 2016.03.23., 접속일 2019.09.24.
·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넷플릭스의 콘텐츠 전략」, 최인혜 연구원, 2018.02.07., 접속일 2019.09.25.
· 이승호 기자, 「넷플릭스 세계 가입자 증가폭 반토막, 美 가입자도 8년만 감소」, 『중앙일보』, 2019.07.18., 접속일 2019.09.23.
· Brunch, 「넷플릭스가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 2019.07.14., 접속일 2019.09.25.
· 안별 기자, 「넷플릭스, 올해 2분기 가입자 증가 주춤…美 가입자 8년 만에 첫 감소」, 『조선비즈』, 2019.07.18., 접속일 2019.09.24.
· 서형걸 기자, 「넷플릭스가 게임으로 진출할 수밖에 없는 이유」, 『게임메카』, 2019.06.26., 접속일 2019.09.23.
· Bloter, 「인터랙티브 데이터 시각화 콘텐츠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2019.08.23., 접속일 2019.09.26.
· 이효상 기자, 「성적 나빠도 웃는 넷플릭스...왜일까?」, 『경향비즈』, 2017.03.06., 접속일 2019.09.23.
· MOBI INSIDE, 「[App Ape의 모바일 앱 분석] 지금은 넷플릭스 전성시대? 넷플릭스 3개국 이용동향」, 2019.08.13., 접속일 2019.09.24.
· 애틀러스리서치앤컨설팅, 「[19.2Q 실적]넷플릭스, 매출 증가 속 순익 감소와 가입자 성장세 둔화 조짐」, 2019.07.18. 접속일 2019.09.20.
· 이해진 기자, 「[MT리포트]“몸값 151조” 넷플릭스의 성공 비결 셋」, 『머니투데이』, 2018.05.22., 접속일 2019.09.22.
· 이경탁 기자·배미래 인턴기자, 「통합 OTT ‘웨이브’, "2023년까지 콘텐츠 3천억 투자·유료가입자 500만명 확보"」, 『조선비즈』, 2019.09.16., 접속일 2019.09.23.
· 뉴스1, 「보고싶은 영화 척척 추천하는 넷플릭스...비결은?」, 『동아일보』, 2019.08.21., 접속일 2019.09.23.
· 뉴시스, 「어떻게 플랫폼 제국이 되었나...‘넷플릭스의 시대’」, 『동아일보』, 2019.09.16. 접속일 2019.09.24.
· 이승균 기자, 「[왜 넷플릭스인가 ③] 빅데이터 기술로 국내 시장 파고들다」, 『미디어SR』, 2019.02.21., 접속일 2019.09.24.
· 전호겸 기자, 「구독경제와 공유경제는 무엇이 다른가?」, 『매일경제』, 2019.05.07., 접속일 2019.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