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 간호과정 (3개의 간호진단과, '출혈 위험성'의 자세한 간호과정)
- 최초 등록일
- 2021.05.28
- 최종 저작일
- 2021.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협심증 간호과정 (3개의 간호진단과, '출혈 위험성'의 자세한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2) 대상자의 간호과정(Nursing Process for This Case)
(1) 간호진단
(3) 간호과정(Nursing Process)
본문내용
1)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이론
임상(Case 대상자)
병인론 (Pathophysiology)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심근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허혈상태가 오며 이때 심한 흉통이 일어난다. 심한허혈과 협심통은 심근의 산소공급 저하와 심박출량 증가로 인한 심장의 과부담이 흉통 유발의 원인이다.
즉, 관상동맥의 협착과 폐색, 저혈압, 빈혈 및 저산소혈증 등에 의한 심근의 산소 요구에 산소 공급이 부족할 때 협심증이 발생한다. 또한 운동, 흥분, 과음, 과식 등의 생리적 요인과 갑상샘 기능항진증과 같은 병리적 요인에 의해 심박출량 증가로 인한 심장이 부담을 많이 느끼게 될 때 협심증이 발생하게 된다.
- 관상동맥 약간의 협착
- 심장비대
- 국소벽운동이상
임상증상 (Clinical Manifestation)
- 흉통: 흉골하나 전흉부에서 발생, 목이나 팔, 어깨, 턱으로 방사
- 질: 조이는 듯한, 쥐어 짜는 듯한, 죄는 듯한, 활활 탄다, 숨이 막힌다, 둔하다, 지속적이다 등으로 표현됨
- 관련 증상: 호흡곤란, 창백, 빈맥, 불안, 공포
- 비전형적인 증상: 소화불량, 오심, 구토, 등 위쪽의 통증
- 유발요인: 운동, 정서적 흥분, 스트레스, 찬 공기, 과식
- 완화요인: 휴식, 자세변경, 니트로글리세린(NTG)
- 서맥
- 흉통
- 어깨 방사통
- 등 방사통
- 호흡곤란
임상병리적 검사 (Test)
- 건강력, 신체검진
- 흉부 X-선 촬영 (Chest AP), 심전도 검사
- 혈청효소검사 (CK-MB, 트로포닌, 미오글로빈)
- 혈청지질검사
- C-반응단백
- 운동부하검사
- 핵의학검사
- 전자빔 CT 스캔
- 양전자 방출단층촬영
- 관상동맥 조영술
- 심초음파 검사
- 건강력, 신체검진
- 흉부 X-선 촬영 (Chest AP)
- 심전도 검사
- 관상동맥 조영술
- 혈청효소검사 (CK-MB, 트로포닌)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