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및 심근경색 문헌고찰
- 최초 등록일
- 2021.05.27
- 최종 저작일
- 2019.05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및 심근경색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심근경색의 정의
2. 원인
3. 증상
4. 검사
5. 치료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력, 신체검진, 검사, 치료 및 경과, 투약
3. 간호과정의 적용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의 정의
심장은 3개의 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괴사하는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2) 심근경색증의 원인
경색된 심근은 죽은 근육이다. 일반적으로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생긴다. 심근경색의 가장 흔한 원인은 관상동맥경화증이며 경화증은 관상동맥의 내강을 좁게 만들고 탄력성을 감소시켜 심근으로의 혈액공급을 감소시킨다. 혈류량이 일정수준 아래로 떨어지지만 심근세포는 허혈성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 손상이 장기화되면 결국 심근세포가 사망하여 비가역적 장애인 심근경색을 일으키게 된다. 관상동맥의 폐색은 죽상경화성 플라그뿐만 아니라 혈전도 같이 관여하며 흔치는 않지만 관상동맥경축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관상동맥이 좁아지지 않았더라도 코카인 남용과 같이 심근의 산소요구량이 급증한 상태가 되면 공급이 이를 받쳐주지 못해 심근경색이 일어날 수 있다. 심근경색의 발병을 촉진할 수 있는 요소들은 산소결핍증, 감정적 스트레스, 격심한 육체운동, 차가운 환경에 노출, 과식, 저혈당증, 출혈, 과민성 반응, 직접적인 심근상해, 약물 등이 있으며 고령, 흡연, 고혈압, 당뇨병, 가족력 , 그 외 비만, 운동부족 등이 있다.
<중 략>
간호사정
주관적자료
①"가슴이 쪼여요“
②“등뼈까지 아파와요 ”
③“토할 것 같고 가슴이 갑갑해요”
④“빨리 약 넣어 주세요. 숨이 막혀요 죽을 것 같아요”
객관적자료
① 2019.05.05. NRS 7 점
② chest pain 호소하심 2019.05.05. BP 180/100 T:36.5 P.84 R:19 checked
③ 경미한 통증 지속 NRS:4 통증 지속되어 침상에만 누워계시려 하는 모습이 관찰됨
④ 아스피린 100mg 경구투약 함
⑤ 니트로글리세린 1T 설하투여 함.(by prn doctor)
간호진단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참고 자료
제102회 조선일보사- 삼성서울병원 공동 건강교실
이 원 용 성균관 의 교수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이 정 일 성균관 의 교수 /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
성인간호학(하)/현문사
성인간호학 여섯째판 Ⅱ/수문사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보건복지부 사진자료
서울아산병원 파킨슨센터 정선주 교수팀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