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사학과 유물론적 근대사학의 논고 - 백남운(白南雲) 이청원(李淸源)을 중심으로 -

*병*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05.26
최종 저작일
2021.04
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사회경제사학과 유물론적 근대사학의 논고 - 백남운(白南雲) 이청원(李淸源)을 중심으로 -"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백남운의 생애와 역사인식
1. 생애와 활동
2. 역사관과 역사인식
3. 사학사적 의의와 한계

Ⅲ. 이청원의 생애와 역사인식
1. 생애와 활동
2. 역사관과 역사인식
3. 사학사적 의의와 한계

Ⅳ. 맺음말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유물론사학은 1920년대부터 소개되고 있었으나, 단편적인 설명에 불과한 것이었다. 유물사관에 의한 역사서술이 시도되어 이른바 신흥사학의 바람, 즉 유물론사학이 크게 주목받게 된 것은 1933년 백남운의 《조선사회경제사(朝鮮社會經濟史)》가 출간되면서부터였다. 유물론사학의 학자는 백남운을 비롯하여 이청원․이북만(李北滿)․김태준(金台俊) 등이었고, 1940년대에 이르러 김석형(金錫亨)․박시형(朴時亨)․전석담(全錫淡) 등이 합류하여 유물론사학 자체를 다양하게 발전시켰다. 유물론사학은 해방 후에 이르러 논쟁점이 선명하게 노출되었고, 또 비로소 확산되었다. 해방을 전후하여 소장학자가 가세하면서 토론의 광장이 넓어졌고 그 내용도 질적으로 향상되었다. 여기에서는 일제 강점기 사회경제사학이 한국 사학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경제사학을 최초로 시작한 백남운과 사회경제사학의 폭을 넓힌 이청원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백남운의 생애와 역사인식
1. 생애와 활동
백남운은 1894년 2월 11일에 전남 고창군 아산면 반암리에서 백낙규(白樂奎)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백남운은 어려운 경제 형편 속에서 부친에게 엄격한 봉건적 주자가례(朱子家禮)와 한학을 배우며 성장하였다. 이러한 소년기 성장 환경은 그의 성격 및 행동양식 형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그는 봉건적 의식세계에서나마 일제 침략을 비판적으로 인식한 부친으로부터 민족적 현실에 대한 자각과 배일의식을 체득하였다. 백남운이 봉건적 세계관을 완전히 벗어나 근대적 세계관을 형성하게 된 것은 1912년 수원농림학교에 진학하면서였다. 그는 이곳에서 자연과학적 소양과 자본주의 농학․경제학의 기본이론을 습득하고 농촌 현장의 실상을 생생하게 관찰하는 가운데 일제 강점 이후 모순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조선 농업의 문제와 민족적 현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는 1915년 졸업과 함께 강화공립보통학교에 부임하여 3년간 교편생활을 하였으며, 1918년 10월에 일본유학 길에 올랐다.

참고 자료

임영태, 1989, 〈특별기획 북한의 권력과 역사학 북으로 간 맑스주의 역사학자와 사회경제학자들-김광진,김석형,김한주,박문규,박시형,백남운,이청원,인정식,전석담〉, 《역사비평 통권 8호》, 한국역사연구회
조동걸․한영우․박찬승 엮음, 1994,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하》, 창작과 비평사
방기중, 1994, 〈백남운의 학문과 사상〉, 《연세경제연구》(창간호), 연세대 경제연구소
최영성, 2001, 《日帝 時期 反植民史學의 展開 : 申采浩·鄭寅普·文一平·安在鴻·白南雲을 중심으로》, 수덕문화사
김명숙, 2009, 〈백남운의 《조선사회경제사》 연구〉, 경기대학교 학위논문
*병*
판매자 유형Diamon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한국현대사학사 9페이지
    한국현대사학사 목 차 Ⅰ. 서 론 Ⅱ. 한국 근현대 역사학의 개관 1 ... . 역사란 무엇인가?/ 2. 한국 근대역사학의 개요 Ⅲ. 해방 후 한국사학 ... 』(1969)을 편찬했고, 한국경제사학회는 『한국사시대구분론』(1970)을
  • 한글파일 식민사관 극복 노력과 평가- 레포트 개요 7페이지
    뒷받침하는 역사인식 2. 사회경제사학 1) 정의 - 마르크스주의 ... 적 방법론을 발전시킴 - 사회경제사학은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민족주의 ... 목적을 둠 2) 형성 - 사적 유물론에 입각한 사학으로써 민족주의사학과
  • 한글파일 정체성론을 극복하기 위한 한국사학자들의 노력 레포트 개요 6페이지
    성론의 타당성 1) 사회경제사학이 가지는 나름의 장점 (1) 새로운 역사연구 ... . 해방 전의 극복 노력 1) 백남운의 (1) 마르크스 사적 유물론 ... 사상이 나타난 시기’로 규정 4. 1970년대 1) 한국사학, 내재적 발전론
  • 한글파일 랑케,헤겔,카아,마르크스역사학,민족주의역사학,일제식민사학,일선동조론,정체성론,반도적성격론,타율성이론,REPORT 5페이지
    , 사적유물론에 입각하여 우리 역사의 보편적 발전상을 체계적·과학적으로 ... 밝혔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이는 식민주의 역사학의 타율성론·정체 ... 밝힘으로써 일제가 주장하는 봉건사회결여론을 극복하고 이후 사회경제사 연구의
  • 한글파일 박은식과 백남운역사관에 대한 고찰 - 민족주의 사학과 마르크스주의 사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10페이지
    경제사학은 사적 유물론을 이론적 토대로 하는 사관으로 일제 강점기 시기 ... 정립하였다. 졸업 이후 백남운은 연희전문 교수로서 부임하며 한국 경제사 ... 역시 한국사회가 정체되어있지 않았음을 마르크스주의역사학을 통해
  • 한글파일 분단시대 남북한 역사인식의 괴리 12페이지
    인식 북한의 역사연구는 기본적으로 유물론적인 입장에서 진행되고 있다 ...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북한은 67년 이전의 연구 성과들은 유물론역사 ... 이전 북한의 역사연구는 유물사관을 전제로 한 사회주의국가 건설, 혁명전통
  • 한글파일 해방 이후 남북한의 역사학역사인식 16페이지
    . 북한의 역사학은 초기 이념은 변증법적 유물론이었으나, 현재는 주체 ... 의 연구 방법은 주로 각 시기마다 전개된 사관과 역사학 방법론과 학회중심의 ... 출간되었다. 원시 및 고대사분야, 중세사, 봉건말기 우리나라 역사의 내재적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위잇 도시락 이벤트
  • 르네셀 화장품
  • 초대이벤트 - 운빨로맨스
사회경제사학과 유물론적 근대사학의 논고 - 백남운(白南雲) 이청원(李淸源)을 중심으로 -
이벤트1 이벤트2 이벤트3 오늘하루보지 않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