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육 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21.05.24
- 최종 저작일
- 2021.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한국 교육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교육특구와 교육 평준화의 관계
2. 교육특구와 사교육의 관계
3. 교육특구의 문제와 해결방안
4. 편향 교육
5. 편향교육의 사건과 헌법에 보장된 중립성의 원리
6. 한국의 ª교육ª 모습을 종합적으로 기술하기
본문내용
교육특구의 정의를 서울 한 지역에서만 특정 지어 설명하지만, 교육특구는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어느 정도 상대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하고 싶다. 또한, 사교육의 힘이 더 커진 오늘날 어떻게 하면 올바른 교육을 공교육을 통해 이룰 수 있을지를 고민해보던 찰나 여러 원인들 중 교육특구의 원인에 대한 해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교육특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의 학원가와 도곡동을 비롯한 그 일대를 이르는 말이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이 교육특구로 불리는 데에는 강남개발과 사교육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960년대 말부터 강남 일대가 개발되기 시작했다. 1975년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분양이 시작되며 강남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 정부가 강남 이주를 적극적으로 권장했지만, 강남 지역에 초·중·등 학교가 없어서 교육문제를 우려한 학부모들이 이주를 꺼렸다. 이에 따라 교육 당국은 1976년에 경기고등학교, 1981년에 서울고등학교 등 양대 명문고를 강남으로 이전했고, 이후 휘문고등학교, 경기여자고등학교 등 강북 지역 14개 명문고가 강남구 지역으로 옮겨왔다. 그 결과 강남구의 교육여건이 좋아지면서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나 전문직 학부모가 강남으로 대거 이주했고 이때부터 강남 8학군이라는 말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 중반 대학입학에 내신 성적 반영 비율이 확대되면서 강남 지역 고교생들이 다른 지역 학생들에 비해 내신 성적 산출에 불리해지자 강남 8학군 열풍도 사그라졌다. 그러나 1980년부터 전면금지한 개인 및 집단과외, 학원수강이 1989년에 허용되고 1995년에 입시학원 외에 일반 교과목을 보충·교습하는 소형 입시학원 격인 보습학원을 허용되면서 강남구 대치동을 중심으로 사설 학원이 순식간에 늘어나고 활성화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