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색전증 환자 case (과제점수 만점)
- 최초 등록일
- 2021.05.22
- 최종 저작일
- 2021.03
- 2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과제점수 만점 받았습니다. 3개의 간호진단과 2개의 간호과정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2. 해당질환에 대한 통계적인 자료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5) 간호
2. 간호력
3. 간호과정
첨부1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대상자 선정 이유
해부생리학, 성인간호학 등 전공 공부를 하면서 가장 많이 언급됐던 질병 중 하나라서 폐색전증 환자를 케이스의 대상자로 선정했다. 흔한 질병이지만 실제로 어떤 증상이 있는지 어떻게 간호를 해야할지 자세하게 알지 못 했다. 실제 간호계획,수행,평가를 작성하면서 색전증에 대해서 잘 배울 수 있을 것 같았으며, 이번 사례연구보고서를 통해 전공 습득에도 도움이 될 거 같아 선정하게되었다.
2. 해당 질환에 관련된 통계자료
혈전이 폐혈관을 막은 상태를 말하는 ‘폐색전증(pulmonary thromboembolism)’의 발병률이 국내에서 지난 10년간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박인원·정재우 교수 연구팀이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중앙대병원에 입원한 폐색전증 환자에 대한 조사 결과 연구 논문(Epidemiological trend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at a tertiary hospital in Korea)에 이같이 나타났다.박인원·정재우 교수 연구팀은 지난 10년간 중앙대병원에 입원한 25만7669명의 환자를 조사한 결과 591명이 폐색전증이 진단되었으며, 2008년 폐색전증의 비정상적인 증가를 제외하고 10만명당 발병률은 2006년 약 106명에서 2015년 약 320명으로 매년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이 성별, 연령별 폐색전증의 발병률을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폐색전증 발병률은 2006년 약 79명에서 2015년 약 267명으로 증가했고, 여성도 2006년 135명에서 2015명 533명으로 증가한 가운데, 여성의 발병률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 자료
국립암센터, 대한외과학회, 대한의학회. 국가건강정보포털 ‘폐색전증’[Internet]
https://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서울 아산병원, 의약품 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데이터솜.임성희.2018 http://www.datasom.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65
윤은자 외 「성인 간호학Ⅰ&Ⅱ」 9판, 서울:수문사; 2019
이은희와.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서울:고문사; 2019
양선희 외. 「기본 간호학Ⅰ」제3판 서울:현문사; 2018
송경애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경기:수문사; 2018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