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경재배와 스마트팜의 이해
- 최초 등록일
- 2021.05.16
- 최종 저작일
- 2021.03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수경재배와 스마트팜의 이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수경재배의 이해
2. 스마트 팜의 이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수경재배는 토양 없이 인공배지와 배양액을 이용해 작물을 재배하는 가장 정밀한 양수분 방법이며 디지털 농업의 핵심 기반 기술이다. 우리나라 수경재배 면적은 2019년 기준 3,785ha이며 딸기, 토마토, 파프리카 등 과채류가 전체 수경재배 면적의 90.3%를 차지하고 있다(농업진흥청, 2020). 온실(3,000m2)을 구축한다고 가정했을 때 1년간 온실환경관리(온도, 습도, 광, 공기 환경) 방안에 대해 계획하고 환경제어 및 기타 부대시설 마련에 대해 스마트팜 기술적용으로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수경재배의 이해
수경재배에서 생육단계는 모종기르기, 본포준비, 아주심기, 유인 및 측지 제거, 수정 및 순지르기, 과실유인, 과실비대 촉진, 수확으로 볼 수 있다(농촌진흥청, 2020). 수경재배는 배지사용 여부에 따라 순수수경과 고형배지경으로 나눈다. 순수수경이란 식물의 뿌리를 재탱하는 물질로 고형배지가 없는 배양액에서 키우는 것으로 담액수경, 박수경, 분무경, 모관수경 등으로 나눈다.
참고 자료
이충근, 정호정, 노미영, 최경이, 김소희, 임미영(2020). 멜론 수경재배 메뉴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박용규, 김정화, 김용수, 한순주(2013). 수경재배(양액재배).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2017). 스마트온실환경 가이드라인
신인호(2020). 스마트팜 토마토 수경재배에서 생체정보센서 기반한 자동급액방식의 특성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양호(2014). 시설원예. 농촌진흥청
정호정, 최재현, 윤해숙, 김대영, 황용수, 조희래, 이예진(2019). 딸기.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2017). 시설원예 현장적용 기술
농촌진흥청(2020). 스마트온실관리 및 관리재배
농촌진흥청(2020).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기술
농촌진흥청(2019). 스마트팜 기본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