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레포트] 제주도의 관광수용력 현황과 이를 통해 본 제주 관광의 미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관광수용력의 개념
2. 본론
1) 제주도의 관광수용력 실태
2) 제주도와 오버투어리즘
3) 최근 이슈
4) 분석 결과
3. 결론
1) 연구 요약
2) 연구 한계
본문내용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제주특별자치도는 2000년 이후 방문객이 꾸준히 증가하여, 2016년 1,500만 명 관광객 시대를 맞이한 대한민국 대표 관광도시이다. 관광도시답게 관광산업이 제주도의 주요 산업으로 자리 잡으며 경제적 효과를 창출하고 있지만, 그만큼 관광수요 증가로 인한 갖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제주 관광의 미래는 지역주민을 비롯한 관광객, 업계 종사자 등 많은 이들이 고려해야 할 과제가 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제주도의 현재 관광수용력 실태를 파악해보고, 관광수용력과 관련해 발생하는 주요 문제들을 분석하여 제주 관광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해보고자 한다.
해당 연구의 필요성은 사업을 계획하고 추진하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제주도에 거주하여 살림을 꾸려나가고 있는 지역주민, 설렘을 안고 여행하는 관광객 등 모두가 제주 관광의 문제를 인식하고 더 나은 길을 제안하는 기회를 제공함에 있다.
2. 관광수용력의 개념
관광수용력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수용력의 정의를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초기 수용력은 동식물의 개체군이 일정한 서식 환경에서 증가할 때 환경의 저항을 받아 일정한 상한에 도달하여 평형상태를 지속한다는 ‘개체군 성장 형태 이론’에서 비롯되었다. 이처럼 생물, 생태학적 관점에서 대두되던 수용력은 산업화로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1960년 중반부터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관광자원에 대한 수용력의 개념으로 확대되었다.
참고 자료
박홍배, 「제주 관광수용력 모형의 이해와 제주 적용방안」, 제주관광공사, 2017.10
이준성, 「2018년 제주관광 수용력 관리방안 연구」, 제주관광공사, 2019.01
박민경, 「관광수용력과 관광만족도와의 관계:관광 정책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경영학회, 2018.01
박주영, 「오버투어리즘 현상과 대응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8.01
홍창빈, “제주관광 현 수용력 ‘1686만명’...“2019년 한계에 도달”, 헤드라인 제주, 2018.02.14.
양성창, “제2공항과 환경수용력”, 제민일보, 2020.02.19
박찬식, “기후위기와 코로나 시대에 부응하는 역사적인 결단을 기대합니다”, 프레시안, 2020.10.28.
이감사, “망가지는 제주도, 대규모 개발 중단해야”, 뉴스제주, 2020.04.10
제주특별자치도, 「[제2공항에 대해 궁금해요] 제2공항 추진경과(~19.2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ppyjejudo/221476044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