왈츠, 자이브의 특성과 유래
- 최초 등록일
- 2021.05.06
- 최종 저작일
- 2017.04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소개글
"왈츠, 자이브의 특성과 유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왈츠
1) 왈츠의 유래
2) 왈츠의 특성
3) 왈츠의 운동효과 및 장점
2. 자이브
1) 자이브의 유래
2) 자이브의 특성
3) 자이브의 운동효과 및 장점
3. 자이브 휘겨 동작설명 및 유의사항
: 각 휘겨의 용어 정의 및 동작설명
본문내용
1. 왈츠
1) 왈츠의 유래
왈츠( 영어 : waltz 독어 : Walzer 불어 : valse)는 3/4박자 계열의 무곡으로 명칭은 ‘회전하다’, ‘구르다’의 의미를 지닌 독일어 발첸(Walzen)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 용어는 처음에는 회전운동을 말하는 폭넓은 의미로 사용이 되었다. 점차 오스트리아, 남부 독일의 고원지방에서 발생한 어느 일정한 무곡을 지칭하게 되었다. 왈츠는 발을 바닥에서 회전시키는 동작을 요구하는 원무곡이다.
왈츠는 오스트리아의 민속춤인 [렌들러(Lndler)] 라는 3박자 계열의 춤에서 유래했다. 렌들러는 밝고 경쾌한 시골풍의 춤이고 왈츠는 렌들러보다 템포가 빠른 사교적인 춤이다.
왈츠는 남녀가 거의 끌어안다시피 춤을 춘다. 왈츠 이전의 춤은 고작해야 남녀 파트너가 손을 맞대는 정도였기에 유럽에서는 외설적이라는 이유로 왈츠를 금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19세기 사교계의 중심지였던 비엔나에서 귀족들 사이에 크게 유행하였고 빈 회의(1814~1815, 나폴레옹 전쟁의 수습을 위해 오스트리아가 개최한 국제회의)에서 무도회를 가지며 왈츠가 각국으로 전파되었다.
이후 빈 회의의 의장 메테르니히가 옛 합스부르크 왕가의 영광을 재현하려는 왕정복고의 보수반동정치를 강행하며 이로 인한 국민들의 정치적 불만을 무마하기 위해 정권적 차원에서 왈츠를 장려했다. 그는 건축법을 개정하여 무도회장을 대폭 늘렸고, 전 국민은 사교의 수준을 넘어 향락의 수준으로 왈츠에 중독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