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과시민사회 A+ 리포트
- 최초 등록일
- 2021.05.05
- 최종 저작일
- 2021.04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소개글
"블록체인과시민사회 A+ 리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블록체인의 시스템적 특징
2. 해시 함수와 해시 값
3. BTC시스템에서 활용되는 공개키 암호방식
본문내용
1. 블록체인의 시스템적 특징
• 탈중앙집권: 디지털 통화가 본질적으로 탈중앙집권화 되려면 2가지의 조건이 있습니다. 그것은 검열에 강한 것, 그리고 프로젝트 리더에 간섭 받지 않는 것 입니다. 만약 암호화폐의 가격이 프로젝트 리더의 생사에 좌우된다면, 그것은 탈중앙집권화 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중앙집중화 된 노드로 인해 속도나 확장성이 저하되는 것 이라면 탈중앙집권이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암호화폐의 노드는 부분 또는 전체의 블록체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이 페이팔과 같은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중앙 집중형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게 합니다. 일반적인 장부에는 수표나 영수증 또는 약속어음의 교환내용이 기록되는 반면에, 블록체인은 그것 자체가 거래장부인 동시에 거래증서(수표, 영수증, 약속어음)입니다. 비트코인에서는 거래들의 지불되지 않은 결과의 형태로 존재한다고 표현합니다. “지불인 갑이 00원을 수취인 을에게 보낸다” 형식의 거래는 소프트웨어 앱(비트코인 지갑앱 등)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뿌려집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은 거래를 검증한 다음, 자신의 장부에 거래를 추가합니다. 그리고 이 거래가 추가된 장부를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들에 뿌립니다.
• 분산대장형: 분산대장형은 거래내역 등의 정보를 모든 사람이 공유하는 것으로 신뢰성을 유지합니다. 분산형 대장 기술은 영어로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DLT)라 하며, 복수로 서로 같은 정보를 공유하면서 외부공격을 막거나 변조를 합니다. 분산대장형(분산 원장)은 지리적으로 여러 사이트, 국가 또는 기관에 분산, 복제, 공유 및 동기화 된 디지털 데이터 합의입니다.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달리 중앙 관리자가 없습니다. 분산 원장 데이터베이스는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의 여러 노드(장치)에 분산되어 있으며 각 노드는 원장의 동일한 복사본을 복제 및 저장하고 독립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