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소방공무원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최초 등록일
- 2021.04.16
- 최종 저작일
- 2020.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신임 소방공무원 교육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
1) 신임 소방공무원 교육의 현황
3. 신임 소방공무원 교육에 대한 문제점
1) 신임 소방공무원 교육 훈련 과정의 ‘양적 대폭 확대’ 필요성 제기
2) 지역 간의 격차 해소를 위한 훈련 교육의 통일성 제고
3) 신임 소방공무원 훈련과정에 대한 평가 후 실무에 적용하는 피드백 과정 보완
4) 소방 교육과 실제 업무 활용도 및 조직의 생산성 간의 영향 평가 필요성 제기
4. 신임 소방공무원 교육에 대한 개선방안(()
1) 훈련과정 기간을 현행의 12주 내외에서, 24주 시행으로 대폭 증대
2) 지역 간의 통일성을 높일 수 있는 소방청 중심의 일관된 가이드라인 제공
3) 신임 소방공무원의 교육을 담당하는 전문교육 인력의 전문성 제고
5. 결론
6. 기대효과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목적
신임 소방공무원 교육, 즉 신임 소방공무원들의 현장 교육을 위한 신규임용자과정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발전 방향들이 지금까지도 지속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특히, 소방업계 관련 종사자들을 모두 비롯하여 관련 소방공무원들의 근무환경과 처우를 개선하고, 더욱 소방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마련되는 법적·제도적 지원과 그에 따른 사회적 인식의 적절한 수반은 꼭 필요한 요소들이 될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생각해 볼 때, 우리는 신임 소방공무원 교육에 대한 현재의 개선점과 해결방안에 대해 자연스레 생각해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고민은 당연히도 소방 교육의 효율성과 효과성 제고, 그리고 앞서 이야기하였던 제도 행정적 지원과도 직결되는 사항이기 때문이다. 즉, 현재의 소방 관련 현안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야 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이 신임 소방공무원에 대한 처우와 교육 환경이라는 것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소방업계의 인력수급 문제는 현실화하고 있고, 이러한 점에서 살펴볼 때, 우리는 신규로 들어오는 소방공무원들에 대해 어떠한 자세로 임하고 있는지를 다시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현재 소방공무원으로서 자원하고 싶어 하는 청년들이나, 실제 소방관으로서 임용되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가 점차 줄고 있는 것이, 물론 소방현장의 막연한 위험성 탓도 있겠지만, 교육적 프로세스의 결함이 없는지는 한 번 더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고민은 소방관들의 실질적인 근무 이탈률이나 이직률,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깊게 생각되어야 할 문제가 될 것이다.
참고 자료
경상북도소방학교 홈페이지, 교육안내 신임교육,
http://gb119.go.kr/gfa/goMenu.do?menuId=gfa_001_001_002&cntntsSn=930
광주광역시 소방학교 홈페이지, 교육안내 신임교육과정,
https://www.gwangju.go.kr/fa/contentsView.do?pageId=fa14
채진ㆍ고기봉, 「신임소방공무원의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기도소방학교ㆍ강원소방본부, 2015, http://fpn119.co.kr/31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