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원2급 언어교수이론 과제 (배론)
- 최초 등록일
- 2021.04.13
- 최종 저작일
- 2020.12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육이론
침묵식 교수법의 정의와 한국어교육 및 개선방안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침묵식 교수법이란
ⅱ. 침묵식 교수법의 한국어 교육과 개선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Caleb Gattegno가 개발한 침묵식 교수법은 무언(無言)교수법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침묵주의 교수법은 이전의 행동주의 심리학의 영향을 받은 청각 구두 교수법의 학습 원리와는 반대되는, 제2언어의 학습은 반복적인 암기가 아닌 학습자의 부담을 덜어주면서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인지주의 접근법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지향하고 있다.
침묵식 교수법은 주로 발음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교사는 거의 말을 하지 않고 침묵하며, 텍스트로 된 교재가 아닌 도표와 색깔 있는 막대기 혹은 색깔 카드 등과 같은 보조 자료를 학습 자료로 하여 학습자가 무엇을 말해야 하는지를 발견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강의교안
박경자, 장복명 (2011), 언어교수학, 박영사
강현화, 이미혜 (2016), 한국어교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함은주 (2011), 침묵식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음운지도 방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교수법 소개, International TEFL and TESOL Training, 침묵식 교수법 시연, 네이버검색 (english-school.tistory.com/m/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