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케이스스터디
- 최초 등록일
- 2021.04.04
- 최종 저작일
- 2014.09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위암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진단 : 5개
과정 & 계획 : 5개
목차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2. 원인 (Etiology)
3. 증상 (Symptom)
4. 진단 (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Ⅲ. 간호사례
1. 간호력 (Nursing history taking)
2. 신체검진 (Physical examination)
3. 진단적 검사 및 기타 자료
4. 병의 경과 (Progress of disease)
5. 간호진단 목록
6.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및 제언(& 실습소감)
본문내용
위암은 위의 표면 점막세포에서 발생하여 점막→점막하층→근육층 및 장막층 순으로 깊이 파고들고 심하면 위벽을 뚫고 복강 내로 퍼지게 된다. 위암은 위의 어느 곳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65%가 위의 하부 1/3에서 발견된다. 암이 점막층 내지는 점막하층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를 '조기 위암'이라 한다. 암의 침윤 정도가 점막하층을 지나 근육층 이상을 뚫고 갔을 때를 '진행성 위암'이라고 부른다. 위암이 퍼지는 경로는 위벽 내에서 퍼지는 것과 림프절을 따라 암세포가 퍼지는 것 이외에도 간, 췌장, 횡행결장 및 결장간막 등의 인접장기로 직접 퍼지거나, 혈류에 의한 파급으로 간, 폐, 뼈 및 기타 부위로 갈 수 있고 위벽을 뚫으면 난소를 비롯하여 복강 내 어디나 퍼질 수 있다.
위벽은 점막층, 점막하층, 고유근층, 장막하층, 장막 등 5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 병소의 깊이는 T라는 문자로 표현한다.
위암이 점막에 머물러 있는 경우 T1, 근육층까지 진행하였으나 위의 표면은 침범하지 않은 경우를 T2, 장막을 파괴하고 위의 표면에 나와 있는 경우 T3, 위암이 위의 표면에 나와 대장이나 췌장 등 기타의 장기나 조직에 직접 침범한 경우 T4라고 한다.
림프관내로 들어간 암세포는 림프관을 흘러 위에 바로 근접한 림프절로 흘러 들어가 그 곳에서 증식하여 림프절 전이가 일어난다.
림프절로 전이가 없는 경우 N0, 위에 연한 림프절에 전이가 있는 경우는 N1, 위에 흘러 들어가는 동맥의 주위에 있는 림프절 등에 전이가 있는 경우 N2, 그리고 위에서 먼 곳에 떨어져 있는 대동맥의 주위 림프절 등에 전이가 있는 경우 N3라고 한다.
위암에서 림프절 전이 이외에 중요한 전이로서 복막전이와 간전이가 있다.
위암이 바깥쪽을 향해 침범하여 위벽을 전부 뚫고 나와 복강 내로 흩어져 배 전체로 퍼질 수 있다. 이를 복막전이라고 하며 장끼리 서로 늘어 붙거나, 또는 복수가 배에 고일 수 있다.
참고 자료
이은옥 외 (1992).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출판부
최정신 편역(1994).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현문사
송미순, 김달숙, 최수미, 전명희 편저(1994).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김조자 외 공저(2000). 성인간호학 하(1). 현문사
전시자 외 공저(2005).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고성희, 김명애, 이영희, 김현경 편저(2002),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씨그마학회. 임상 간호 메뉴얼. (1997). 현문사
이명화 외 공저(2003), 기본간호학각론. 정담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