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구분 기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개론)
- 최초 등록일
- 2021.03.25
- 최종 저작일
- 2019.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구분 기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개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구분 기준
2.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KSL)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KFL) 특성 - KSL교육과 KFL교육의 차이
3.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KSL)과정의 목표 -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의 영역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구분 기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KAFL), 또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라 하면 ‘외국어’ 라든가 ‘외국인’이라는 술어 때문에 흔히 재외교포를 대상으로 하는 분야는 빠지게 되어있다. 그리고 교포(특히 2세정도)가 가령 국적상으로는 외국인이 되어 있더라도 혈통상 한국인이면 역시 한국어를 모국어라 해야 하기 때문에, 현지어를 제1언어, 모국어(즉 한국어)를 제2언어로 규정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모국어와 대립하는 개념인 ‘외국어’로서 교육하는 것이고,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은 모국어인 제1언어에 준하여 사용하는 외국어로서 교육하는 것을 말한다.
2.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KSL)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KFL) 특성
그동안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KFL( Korean as a Foreign Language)의 개념이 혼재되어 사용되었다.
참고 자료
김현정(2012)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읽기 교재 개발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민현식(2000) 한국의 교재의 현황과 개발 방향:한국어 교재의 실태 대안.국어교육연구,7,5-6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5) .국어교육과 국가경쟁력.한국어교육학회,117,233- 285 .한국어교육
안세영(2013) 국제바칼로아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위한 제2외국어 과목으로서의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