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론 - 영미권과 북유럽권의 평생교육 정책을 비교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1.03.24
- 최종 저작일
- 2020.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미권의 평생교육 정책
2. 북유럽권의 평생교육 정책
3. 영미권과 북유럽권의 평생교육 정책 간 비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21세기에 들어 현대 사회에서는, 각 사회의 구성원들이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학습을 누구나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그와 동시에 지속적인 발달을 위해 언제 어디서나 학습을 원하는 만큼,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시기에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커다란 하나의 추세가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평생교육’과 ‘학습사회’라는 개념이 대두되었으며,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사회적·국가적 차원에서의 정책과 지원책 또한 지금도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공통적으로‘학습하는 방법의 학습(learning how to learn)’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평생교육의 목표가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지속과 성장의 교육이므로, 자율적인 학습이 전제되기 위하여 교육받는 방법들에 대해 직접 교육해야 한다는 성격을 지닌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평생교육을 장려하고 지원하기 위한 정책들은, 교육 목적·대상·내용·방법·평가 등의 모든 측면들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학교 교육과는 차별점을 두고, 다양성과 학습자의 능동성을 포함할 수 있는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저, 세계 평생학습 현황분석, 경기도 평생교육 중장기 진흥계획, p.1-27, 2013
한숭희, 김경애, 이정은 공저, 북유럽 국가의 평생학습체제: 오래된 미래, 아시아교육연구 7권 4호, p.139-166, 2006
한숭희, 오헌석, 김경애, 이정은 공저, 북유럽 평생학습정책 추진 사례분석을 통한 한국의 평생학습추진 전략 수립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